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의 학습부진, 학습장애, 일반아동 선별에 대한 근거자료 타당성 탐색: 기초학력진단평가와 표준화검사 정보를 중심으로

이용수 824

영문명
Examining information that helps teacher’s judgment on learning difficulties and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학습장애학회
저자명
이애진(Aejin Lee) 양민화(Minwha Yang)
간행물 정보
『학습장애연구』제15권 제3호, 29~5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와 학습부진을 선별하는 교사의 판단 기준과 근거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 제공해야 할 정보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초학력 진단평가 검사와 표준화 검사 결과에 의해 분류된 집단과 교사 판단 집단과의 일치도를 분석하고, 교사 판단에 의한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집단을 효과적으로 예측하는 모형을 의사결정나무분석 방법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교사의 판단으로 분류된 집단은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결과보다는 표준화 검사 결과와 일치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현재 교사의 판단에 따른 학습부진, 학습장애 선별은 정확도가 높다고 보기는 어려웠으며, 보다 정확한 근거자료가 교사들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현재 교육현장에서 학습부진 선별검사로써 사용되고 있는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결과는 표준화 검사와의 일치도도 매우 낮아 교사가 학습장애는 물론 학습부진을 정확하게 판단하는데 오히려 혼란을 초래할 수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교사들은 학습부진과 학습장애를 선별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만, 교사가 학습부진과 학습장애를 판단하는 근거가 되는 예측변인을 탐색한 결과 표준화 검사 중 학습장애를 예측할 수 있는 검사 결과와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논의에서는 교사가 정확하게 학습부진과 학습장애를 선별할 수 있는 진단체계의 마련이 필요함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eachers’ judgment on selecting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with learning disabilitie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standardized achievement tests, as well as government recommended school-made tests. The authors of this study attempted to help teachers make more informed decisions. There were eigh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rated performance levels of 69 of their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judgment of students’ learning difficulties and disabilities was barely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government recommended school-made tests. However, there were somewhat better, but still displayed a noticeable rate of inconsistency between teachers’ judgments and the standardized test results. Teachers had difficulty identifying learning disabilities from difficulties because the definition of both concepts was confusing in the current school system. It was also found that despite the poor information teachers are given, they nonetheless continued doing their best to identify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disabilities. The results also implied that if teachers are given accurate information such as standardized results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phonological processing, the accuracy of teacher’s judgments would improve significantl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애진(Aejin Lee),양민화(Minwha Yang). (2018).교사의 학습부진, 학습장애, 일반아동 선별에 대한 근거자료 타당성 탐색: 기초학력진단평가와 표준화검사 정보를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15 (3), 29-55

MLA

이애진(Aejin Lee),양민화(Minwha Yang). "교사의 학습부진, 학습장애, 일반아동 선별에 대한 근거자료 타당성 탐색: 기초학력진단평가와 표준화검사 정보를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15.3(2018): 29-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