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학습부진, 학습장애, 일반아동 선별에 대한 근거자료 타당성 탐색: 기초학력진단평가와 표준화검사 정보를 중심으로
이용수 766
- 영문명
- Examining information that helps teacher’s judgment on learning difficulties and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 저자명
- 이애진(Aejin Lee) 양민화(Minwha Y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장애연구』제15권 제3호, 29~5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와 학습부진을 선별하는 교사의 판단 기준과 근거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 제공해야 할 정보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초학력 진단평가 검사와 표준화 검사 결과에 의해 분류된 집단과 교사 판단 집단과의 일치도를 분석하고, 교사 판단에 의한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집단을 효과적으로 예측하는 모형을 의사결정나무분석 방법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교사의 판단으로 분류된 집단은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결과보다는 표준화 검사 결과와 일치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현재 교사의 판단에 따른 학습부진, 학습장애 선별은 정확도가 높다고 보기는 어려웠으며, 보다 정확한 근거자료가 교사들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현재 교육현장에서 학습부진 선별검사로써 사용되고 있는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결과는 표준화 검사와의 일치도도 매우 낮아 교사가 학습장애는 물론 학습부진을 정확하게 판단하는데 오히려 혼란을 초래할 수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교사들은 학습부진과 학습장애를 선별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만, 교사가 학습부진과 학습장애를 판단하는 근거가 되는 예측변인을 탐색한 결과 표준화 검사 중 학습장애를 예측할 수 있는 검사 결과와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논의에서는 교사가 정확하게 학습부진과 학습장애를 선별할 수 있는 진단체계의 마련이 필요함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eachers’ judgment on selecting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with learning disabilitie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standardized achievement tests, as well as government recommended school-made tests. The authors of this study attempted to help teachers make more informed decisions. There were eigh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rated performance levels of 69 of their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judgment of students’ learning difficulties and disabilities was barely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government recommended school-made tests. However, there were somewhat better, but still displayed a noticeable rate of inconsistency between teachers’ judgments and the standardized test results. Teachers had difficulty identifying learning disabilities from difficulties because the definition of both concepts was confusing in the current school system. It was also found that despite the poor information teachers are given, they nonetheless continued doing their best to identify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disabilities. The results also implied that if teachers are given accurate information such as standardized results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phonological processing, the accuracy of teacher’s judgments would improve significantl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동적 중재반응모델이 읽기학습장애 진단율에 미치는 영향 - 7세 유아를 대상으로 음운인식을 결합한 파닉스 프로그램 적용-
- 경계선급 지능 중학생의 학교생활 경험 및 교육 지원 요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 인식
- 교사의 학습부진, 학습장애, 일반아동 선별에 대한 근거자료 타당성 탐색: 기초학력진단평가와 표준화검사 정보를 중심으로
- 학습장애(난독증)학생의 고부담 평가 참여를 위한 검사조정에서 고려할 요소들: 공평성과 타당성의 균형 맞추기
-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단일중재전략과 종합중재모델에 대한 고찰
- 묵독유창성, 어휘, 읽기이해로 살펴본 초등학교 3학년 읽기특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 읽기 보편적 선별검사의 2년 후 예측타당도 분석: 어절선택 CBM의 활용
- 학습전략이 정의적 영역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특수학교를 위한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문헌연구
-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조기선별을 위한 학습자 속성 탐색 연구: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방과후 2단계 중재에 적용한 증거기반 교수가 수학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의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
-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위한 읽기중재 단일대상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경도지적장애, 학습장애, 학습부진학생을 중심으로
- 학습장애 학생들의 문장제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전략교수 효과: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 명시적 교수에 기반한 통합파닉스 훈련이 난독증위험학생의 단어재인, 읽기유창성, 철자쓰기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 및 교사들의 2022 개정 실과 내 농업영역 성취기준에 관한 관심도, 이해도 및 중요도 조사연구
- 발명철학의 존재론과 인식론적 고찰
- 디자인 씽킹 기반 교과 통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융합 마인드 셋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