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표현예술치료로서 그림책 창작과정이 가지는 의미
이용수 396
- 영문명
- Meaning of Picture-Book Creation Process as an Expressive Arts therapy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윤경미,최선남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4권 제3호, 801~8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1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의 그림과 글의 치료적 특성과 관계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그림책 창작과정이 가지는 표현
예술치료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문헌연구에서 살펴본 그림책의 특성과 존재론적 탐구를 토대로 한 연구자
의 그림책 창작과정은 예술이나 미적 경험이 현재에서의 적극적인 내면의 변화와 치유를 일어나게 한다는 점
에서 가치가 있다. 그림책 창작과정은 안정감을 주며, 자신과 감정에 대한 이해, 통합된 삶의 이야기 재구성관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림책 창작과정에서 나타난 치료적인 요인은 세 가지 함의를 도출해낼 수 있
다. 첫째, 그림책 창작과정은 새로운 글과 새로운 그림의 해석을 창출하면서 상호중재한다. 둘째, 그림책 창작과
정은 무의식과 의식의 해석학적 순환과정을 통해 인간에 대한 이해와 성찰, 타자에 대한 이해를 창조적으로 연
결, 확장, 발달시켜주는 표현예술매체의 역할을 한다. 셋째, 그림책 창작과정은 타고난 본성을 신체언어와 접붙
이며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체화의 과정을 가질 수 있게 해준다. 표현예술치료로서 그림책 창작과정은 내담자
뿐만 아니라 창작 작업을 하는 사람들과 예술심리치료사들에게 자기탐색과 이해, 개인적 창조성과 독창성, 자
율성을 높이고 타인과 소통하며 공감할 수 있는 전문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aning of expressive arts therapy by examining the therapeu
tic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text in a picture-book. In the literature research, t
he characteristics of picture-books and ontological inquiry in the process of picture-book creation notably sh
owed that art or aesthetic experience led to active internal changes and healing in the present. The process
of creating a picture-book gave a sense of stability, and its meaning was found in terms of an understandin
g of oneself and feelings, and a reconstruction of an integrated life story. Therapeutic factors in the process
of picture-book creation led to three implications. First, the process of creating a picture-book had an effect
while both creating new texts and interpreting new pictures. Second, the process of creating a picture-book
played the role of an expressive arts medium that creatively connected, expanded, and developed reflection,
and understanding of others through the hermeneutics cycle of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Third, th
e process of creating a picture-book created a process of embodying one’s inner nature by connecting it wit
h the body language and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The process of creating a picture-book is not only
benefits a client, but also creative workers by providing a professional way for arts therapists to enhance th
eir self-discovery, understanding, individual creativity, originality, autonomy, and communication with other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실치료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대처능력과 금주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소아암 환자의 보호자와 의료진의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바탕으로
- 불안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동향
- 천경자의 뱀을 주제로 한 작품에서 드러나는 승화와 자기치유적 의미에 대한 고찰
- 어린이집 교사의 대인관계문제 감소를 위한 의사소통 교육 병행 미술치료 사례연구
- 소아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서 그림이야기 검사 반응특성 - 소아화상환자에서 -
- 조혈모세포이식을 받는 동안 무균실에 입원한 소아암 환아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 미술치료 회기에서 다뤄진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
-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본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의 편집증적 비평방법시기의 회화작품연구
- 표현예술치료로서 그림책 창작과정이 가지는 의미
- 학령후기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및 특성분노의 예측변인으로서 DAS(Draw-a-Story) 그림검사 반응특성
- 점토매체를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동향 (1994년~2016년 국내논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통합치료연구 제14권 제2호 목차
- 중국 내 알츠하이머병 노인의 긍정적 정서 지원을 위한 노래 중심 비대면 음악 중재 적용 사례
- 자폐스펙트럼아동의 상호작용 발달놀이치료(IDP) 사례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