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직자와 실직자 기혼남성의 모자화 반응특성에 따른 애착에 관한 연구
이용수 71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child drawings by employed and unemployed males and their attachment type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이정임,이영닉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1권 제1호, 21~3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2.15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재직자와 실직자 기혼남성의 모자화 반응특성과 모자관계에 따른 애착에는 어떠한 관련성
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인천, 대전, 대구, 경기, 충북, 경북, 경남, 전북,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재직 기혼남성과 실직 기혼남성 361명이며, 측정도구로는 모자화와 성인애착척도이다. 자료 분석을 위
해 빈도분석과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재직자와 실직자 기혼남성의 모자화 반
응특성(아이상, 어머니상, 모자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이상과 어머니
상에서 두 집단 모두에서 ‘전신표현’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아이상과 어머니상의 얼굴표현에서 재직자 집단
보다 실직자 집단에서 ‘모두 표현’한 것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접촉에서는 재직자 집단에서는 ‘접
촉 있음’이 가장 많이 나타난 반면에 실직자 집단에서는 ‘접촉 없음’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직자와 실직자 기혼남성의 애착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재직자 집단이 실직자 집단보다 애착-
의존이 높고, 애착-친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직자와 실직자 기혼남성의 모자관계에 따라 애착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재직자에서만 모자관계에 따라 애착-의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으나 집단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child drawings by
employed and unemployed males and their mother-child attachment. The participants were 361 employed or
unemployed married males living in the areas such as Seoul, Inchon, Daegeon, Daegu, Gyeongi-do,
Chungcheongbuk-do, Gyeongsangbuk-do, Gyeongsangnam-do, Jeollabuk-do, and Busan. The instruments
included the mother-child drawing test and adult attachmen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child
drawings (child figures, mother figures, mother and child figures) showed that the whole body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in the child figure and mother figure drawings by both groups. In the face description
of the child and mother, the unemployed group drew the whole face more frequently than the employed
group. In addition, while physical contact appeared in the drawings of the employed group the most
frequently, no physical contact appeared in the drawings of the unemployed group the most frequently.
Second, in attachment, the employed group showed higher attachment dependence and lower attachment
intimacy than the unemployed group. Third, the employed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attachment dependenc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시설거주 경도인지장애노인의 무력감감소,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한국인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FAT 풀어내기
- 여성 내담자의 명상 사례 국내 연구 동향: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