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입전형자료로서 학교생활기록부 비교과영역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와 입학사정관의 인식 비교

이용수 398

영문명
A Study on High School Teachers’ and College Admissions Officers’ Perception of the Extra-Curricula Area in School Record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이원석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29권 제3호, 543~56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생활기록부 비교과영역 각 항목의 대입전형 자료로서의 중요성과 교사의 기재 재량 이 인정되는 항목인 창의적 체험활동,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독서활동상황,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의 기재/활용 시 애로점에 대해 학교생활기록부를 작성하는 주체인 고등학교 교사와 이를 입학전형에서 활용하는 주체인 입학사정관의 인식을 직접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술형 문항을 포함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와 입학사정관은 수상 경력, 진로희망 사항, 자율활동에서 대입전형 자료로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항목에 대한 기재/활용 시 애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대입전형 자료로서의 학교생활기록부 비교과영 역의 타당성 제고를 위한 제언으로 대입전형 자료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와 입학사정관의 인식 차이 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의 구체적인 기준 마련, 자율활동 과 독서활동상황의 대입전형자료로서 활용의 제외,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의 비공개 등을 제시하였으 며, 비교과영역의 항목 중 선별적으로 대입전형 자료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of high school teachers, who write school records, and college admissions officers, who use school records, on the extra-curricula area in school report, that is, on the importance of each item as materials for college admission and the difficulties in recording/using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detailed abilities and special features, reading activitie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o do this, we conducted questionnaires including open-ended quest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teachers and admission officers showed a great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award records, career wishes, and autonomous activities. Also, we figure out important issues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detailed abilities and special features, reading activitie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and concrete suggestions to improve the validity of extra-curricular area in school records, for example, the necessity of more systematic study on the difference of high school teachers’ and admission officers’ perceptions on the importance of admissions materials, specific criteria for writing the detailed abilities and special features, the exclusion of autonomous activities and reading activities, and non-disclosure of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lso, the items of the extra-curricula area should be used selectively as materials for college admiss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원석. (2017).대입전형자료로서 학교생활기록부 비교과영역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와 입학사정관의 인식 비교. 교육방법연구, 29 (3), 543-566

MLA

이원석. "대입전형자료로서 학교생활기록부 비교과영역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와 입학사정관의 인식 비교." 교육방법연구, 29.3(2017): 543-5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