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과대학 학생들의 우울감 빈도와 관련 요인
이용수 28
- 영문명
- Depressive symptoms in medical students: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보미(Bomi Kim) 노혜린(HyeRin Roh)
- 간행물 정보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제26권 제1호, 53~5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 in Korean medical students.
Methods: We evaluated depression in 122 first- and second-year medical students in December 2011 using the Korean Beck
Depression Inventory (K-BDI). Sixteen potential factors were considered: gender, class year, grade point average, breakfast habits, residence type, leisure activity, sleep satisfaction, relationship status, a close friend or a significant other, finances, present health status, history of mood disorders, family history of mood disorders, religion, and self-esteem.
Results: The average BDI score was 8.9. There were 80 (65.6%), 16 (13.1%), 15 (12.3%), and 11 (9.0%) students with minimal, mild, moderate, and severe depression, respectively. The group with depressive symptoms comprised males with a total BDI score ≥24 and females with total BDI ≥25 and constituted 9.0% of students. Students in the depressive symptom group had lower self-esteem and lower grade point averages and were more frequently ill, less likely to be in a relationship, and more likely to have a history of mood disorders (p<0.05 for all). In particular, low self-esteem score was an independent factor.
Conclusion: The BDI scores in our study were similar to those that have been reported in other countries but slightly higher than in other Korean medical and university students. Self-esteem, grade point average, health status, history of mood disorders, family history of mood disorders, and presence of a significant other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depression in medical students.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과대학생들의 소그룹 발표에 대한 동료평가의 의의
- 사전동의 대화의 이상적인 대화구조
-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 모델을 활용한 이종욱-서울 프로젝트 1차년도 성과 평가
- The practitioner as teacher
- 의과대학생의 교육: 보다 최적화된 방법으로
- 의과대학 학생들의 우울감 빈도와 관련 요인
- 의과대학생들의 자아상태와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
- 팀바탕학습을 응용한 보충수업 운영경험
- Th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goal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in medical students
- Using the SPICES model to develop innovative teaching opportunities in ambulatory care venu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면역항암제 도입 전후 폐암 치료비용 및 약품비 분석
- 국내 의약품 규제업무(RA) 전문인력 양성에 필요한 역량과 지식에 대한 산업체의 교육요구도 분석
- 우리나라 노인들의 노인 친화형 의약품 제형 공급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