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물관의 기획전시 관련 교육프로그램 운영 현황과 전망
이용수 29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김정희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6호, 219~2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1.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제박물관협의회 정관과 박물관을 위한 국제 박물관협의회 윤리강령 제 2조(정 의)에 규정된 박
물관 정의를 번역하면 “박물관은 공중에게 개방되고 , 사회와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히는 비영리의
항구적인 기관으로서 , 학습과 교육, 위락을 위해서, 인간과 인간의 환경 에 대한 물질적인 증거를
수집 , 보존, 연구, 교류, 전시한다 ” 고 정의되어 있다 1) 나아가 지난 1992년 미 국 박물관 - 미술관
협회 (Ame11can Association of Muse따ns-이하 AAM) 는 21세기를 위한 결의문에 서 새 시대의
미술관 사명으로 교육을 내세운 바 있다 이는 박물관 · 미술관 사회가 신세기를 맞아 공공기관으
로서의 역할을 확고히 다지려는 의지 하에, 교육이 사회에 기여하는 활동을 총체적으로 수렴할 수
있는 개념이 된다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2) 그러나 우리나라의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의 박
물관 · 미술관 정의를 보면 국제박물관협의회 정관의 박물관 정의와 달리 ‘교육을 위하여’ 라는 내
용이 없다- 즉 교육, 교류 등 박물관이 지니는 무형의 가지가 상대적으로 경시되어질 수 있다는 것
이다 박물관에서 교육이 차지하는중요성은수집, 전시, 연구등의 여타기능과 동등하게 성장해
왔고 오히려 더 강조되는 추세이며 선진국의 박물관들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확대를 위해 경
주하고 있음에도 우리나라의 박물관 교육이 이 렇다 할 성괴를 내지 못하는 것은 이렇게 근본적인
이념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박물관 교육의 정의와 역사
1. 박물관 교육의 정의
2. 박물관 교육의 역사
Ⅲ.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1.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 전담 부서
2. 교육 담당자, 에듀케이터
Ⅳ. 박물관의 기획전 관련 교육프로그램
1. 기획전 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2. 국내 박물관 기획 전 관련 교육 프로그램
3. 해외 박물관 기획전 관련 교육 프로그램
Ⅴ.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박물관의 기획 전시와 관련 교육프로그램 현황 조사(설문조사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웨덴 Skansen 野外博物館
- 남 · 북한 박물관의 교류와 협력방안
- 미국박물관협회와 상임 교육위원회의 역할과 기능
- 어린이박물관의 현황과 과제
- 테크놀로지 시대의 박물관교육 : 멀티미디어를 통한 예술 작품 감상의 이론과 실제
- 박물관과 지역공동체
- 박물관의 장애인편의시설 및 교육프로그램 현황
- 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활용방안 연구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광복이후 한국 박물관의 성격변화에 대한 고찰 - 박물관 관련 법규를 중심으로 -
- 21세기 박물관과 교육자료의 활용
- 체험 전시를 통한 박물관 교육 효과 증대와 관람객 개발
- 생태박물관과 박물관 교육 -북촌마을을 생태박물관으로 볼 때 박물관 교육-
- 박물관의 기획전시 관련 교육프로그램 운영 현황과 전망
- 박물관 전문인력 양성에 관한연구 - 학예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