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演行文學의 장르수행 방식과 그 특징
이용수 3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박영주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7집, 49~7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01.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 고전문학 유산은 대부분 장르실현의 현장성이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장르실현 주체에 의해 그 특징이 틀지워지는 문학들로 이루어져 있다. 신화․전설․민담 등의 전승 설화문학은 물론, 민요를 위시한 시가문학 일반, 음악적 요소와 긴밀한 연관하에 실현되는 무가․판소리문학, 그리고 말과 동작이 한데 어우러진 현장이 장르실현의 토대이자 본령을 이루는 무당굿놀이․탈춤․꼭두각시놀음의 민속극문학 등이 이를 잘 말해 준다. 이와 같은 특성을 지닌 문학 장르들을 흔히 演行文學이라 하거니와, 연행문학은 우리 문학의 뿌리이자 가장 큰 줄기로서 문학사에 자리잡고 있다.
영문 초록
목차
1. 논의의 목적과 방향
2. 연행문학의 개념과 적용 범주
3. 연행문학의 장르수행 방식과 하위범주
4. 연행문학의 장르수행상의 특징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기도 도당굿 화랭이 연행자 연구 : 광주 이충선과 수원 오수복을 예증삼아
- 여류 명창의 활동양상과 판소리사에 끼친 영향
- 이야기꾼 유형 탐색과 사례 연구 : 부여지역 여성 화자 이인순의 경우
- ‘쥐떼의 도강담’에 나타난 화자의 말하기 원리
-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조사와 사례 분석 : 서남해 도서지역 민요 소리꾼 생애담 조사를 중심으로
- 명창 안향련의 생애와 예술적 성과
- 山臺의 무대양식적 특성과 공연방식
- 탑골공원 이야기꾼 김한유(금자탑)의 이야기세계
- 演行文學의 장르수행 방식과 그 특징
- 민속극 연희론
- 이야기꾼의 연행적 특성 : 전북 익산 이강석 할아버지의 경우를 중심으로
- 무가 연행의 특성 : 평택 강신무 노재용 구송 무가를 중심으로
- 구비문학의 연행론, 그 문학적 생산과 수용의 역동성
- 여성 민요 창자 정영엽 연구
- 판소리에서 임기응변과 변조의 의미 : 고수관의 경우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산 자와 죽은 자의 선물 교환과 믿음체계:인도네시아 남 술라웨시 (South Sulawesi) 섬의 따나 또라자 (Tana Toraja) 장례식의 사례
- 국내외 ESG 사례를 통해 본 중소기업 ESG 경영 활성화 방안
- 디지털 전환시대의 책읽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