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육과정 ‘교육 내용’ 이해를 위한 탐구
이용수 360
- 영문명
- Inquiry on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cusing on Analysis and Critique for Five Educational Categories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 저자명
- 임부연(Boo Yeun Lim)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과정연구』제14권 제3호, 63~8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정 실행력의 근간이 되는 교육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교육내용인 5개 영역의 의미와 체계, 개선방향을 학문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누리과정 고시문과 해설서를 텍스트 해석학의 방법론으로 분석하였으며 보조 텍스트로서 교육내용 관련 다양한 연구물과 학술자료, 정책보고서,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아카이브 등을 활용하였다. 먼저 유아 교육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교육학 전반에서 교육내용관련 담론의 쟁점을 내용연구의 다양성, 내용 선정·조직의 관점, 총론-각론 괴리성, 적정화 담론 등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유아교육내용의 특성과 의미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가 유아교육과정 제정부터 2019 개정 누리과정까지 변천사를 교육내용으로 초점화하여서 분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유아교육과정에서 교육내용의 상세화와 대강화의 역사도 설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유아교육과정에서 교육내용 관련 패러다임적 전환을 가져온 2019 개정 누리과정 5개 영역의 내용체계를 해설서를 포함하여 ‘내용범주-내용-내용이해’의 체계로 확장하고 특히 ‘내용이해’의 의미와 체계를 교육내용 관련 주요 용어인 내용요소, 세부내용, 행위성 등의 용어와 연계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해설서 59개의 내용이해가 모두 세부내용의 구체성과 명증성을 가지지 못하고 있음을 비평하고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 실행력의 근간이 되는 5개 영역의 이해력을 돕기 위하여 교육내용의 명료성과 내용선정 및 조직과 진술방식 등의 개선을 포함하여 향후 영유아교육과정 제정 시 고려할 사항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quiry of the curriculum of cont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five educational categories in 2019 Revised Nuri-curriculum.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hermeneutic analysis approach to collect various data related to the word of contents in curriculum. Firstly, by analyzing the data, this study provided the key topics, such as construction and selection of contents, conflicts between general framework vs contents of subject matter, and sliming of national curriculum. Then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historical changes of contents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to compare the age of 3-5 of Nuri-curriculum and 2019 revised Nuri-curriculum. Particularly, the analysis of five educational areas in Nuri-curriculum has been done on both statement and reference manual related to the five areas. This study with those results has a critical meaning to enhance the practice of curriculum that contents of five areas should include both educational elements and specific explanation of the contents. This study summar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to several issues to revise new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cluding creation of new words for innovation of current ways of constr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목차
Ⅰ. 탐구의 시작
Ⅱ. 교육내용 담론의 쟁점과 유아교육과정 교육내용 특성 살펴보기
Ⅲ. 유아교육과정 교육내용 구성의 변천과 특성
Ⅳ. 유아교육과정 교육내용(5개 영역) 분석과 비평
Ⅴ. 탐구의 결론: 유아교육과정 교육내용 재구성 방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mpact of strategy instruction on Korean EFL students’ oral interaction: Proficiency and task type variables
- Vocabulary knowledge as predictor of EFL university students’ writing performance
- A study on incorporating digital writing into English class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