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두개골 측방향 X-선 촬영에서 정확도 향상을 위한 촬영 보조 기구의 유용성 평가

이용수 7

영문명
Evaluation of Usefulness of Assertive Devices to Improve the Accuracy in Skull lateral X-ray Projection
발행기관
한국방사선학회
저자명
장보석(Bo-Seok Chang)
간행물 정보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제18권 제2호, 153~159쪽, 전체 7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반 X-선 촬영에서 경험이 없는 비숙련자의 경우, 검사 실패의 경험을 통해 숙련되는 과정을 겪는다. 이것은 불필요한 의료 피폭 가중의 문제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치 전 비숙련 방사선사가 임상 숙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시각적, 공간적 보조 장치를 이용한 두개골 측방향 촬영 실습을 통해, 촬영 보조 장치 사용에 따른 정확도와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육안적 관찰과 학습에 의존해서 촬영한 경우 영상 왜곡을 나타내는 회전 이격도 7.85 ± 1.45 mm, 기울임 이격도 4.84 ± 0.5 mm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회전 이격도 4.4 ± 0.76 mm, 기울임 이격도 3.01 ± 0.87mm였다. 공간적 보정 기구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회전과 기울임 이격도는 5.2 ± 0.69 mm, 3.33 ± 0.61 mm로 나타났다. 배치 후 작업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경험적 촬영 실습에 의한 영상 왜곡은 5.4% 감소하였으나, 기울임에 의한 영상 왜곡은 1.2% 증가하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경험적 촬영 실습보다 회전이격도 40.1% 기울임 이격도 30.7% 감소하였다. 공간적 보정 기구를 사용할 경우, 기존의 경험적 실습 방식보다 회전 이격도 41.7%, 기울임 이격도 23.7%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숙련 방사선사의 배치 전 시각적, 공간적 촬영 보조 기구를 이용한 실습은 배치 후 검사 정확도 향상과 재촬영률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In X-ray projection, Unskilled radiologists become skilled through fail exam. This causes the patient to be exposed to unnecessary radiation. In this study, pre-position unskilled radiologic technologist presented ways to improve clinical proficiency. presented a skull lateral x-ray projection practice method using visual, spatial, and assistive devices. In addition, the accuracy and usefulness of the use of assistive devices were evaluated. When X-ray images were taken based on learning, the rotational spacing, which indicates image distortion, was 7.85 ± 1.45 mm and the tiliting spacing was 4.84 ± 0.5 mm. When practicing using visual aids, the rotational spacing is 4.4 ± 0.76 mm and the inclination spacing is 3.01 ± 0.87 mm. using a spatial compensation device, the rotational spacing is 5.2 ± 0.69 mm and the tiliting spacing is 3.33 ± 0.61 mm. Skull lateral X-ray Image distortion caused by empirical photography practice decreased by 5.4%, but image distortion caused by tilting increased by 1.2%. When practicing using a visual assistive devices, the degree of rotational spacing by 40.1% and the tiliting spacing decreased by 30.7% compared to the empirical x-ray exposure practice. When using spatial assistive devices, the rotation interval was reduced by 41.7% and the tilting interval by 23.7% compared to conventional empirical x-ray exposure practice. Therefore, if an unskilled radiologist practices using visual and spatial aids,the accuracy will be improved in skull lateral x-ray projec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보석(Bo-Seok Chang). (2024).두개골 측방향 X-선 촬영에서 정확도 향상을 위한 촬영 보조 기구의 유용성 평가.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18 (2), 153-159

MLA

장보석(Bo-Seok Chang). "두개골 측방향 X-선 촬영에서 정확도 향상을 위한 촬영 보조 기구의 유용성 평가."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18.2(2024): 153-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