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폐용적과 폐기능 환기장애에 대한 유의성 평가

이용수 6

영문명
Significance Evaluation of Lung Volume and Pulmonary Dysfunction
발행기관
한국방사선학회
저자명
김지율 예수영
간행물 정보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제17권 제5호, 767~773쪽, 전체 7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폐용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인자들과 폐기능 환기장애에 대한 유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으로는 저선량 흉부 CT검사와 폐활량검사를 동시에 수행한 정상 성인 남 · 여 206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방법으로는 저선량 흉부 CT검사로 획득한 폐 CT 영상을 이용하여 폐용적을 딥러닝 기반의 AVIEW LCS 자동진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폐활량계를 이용하여 폐기능을 측정한 결과를 획득하였으며 폐용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인자로 성별 및 BMI를 선정하여 폐용적과의 독립표본 T-test를 통하여 유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성별에 따른 폐용적의 평가에서 남성의 모든 폐용적이 여성의 모든 폐용적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별 및 폐용적에 대한 각각의 평균값을 이용한 독립표본 T-test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모든 폐용적이 더 크다는 결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01). 그리고 BMI 지수에 따른 폐용적의 평가에서 BMI 지수 24 이상의 성인의 모든 폐용적이 BMI 지수 24 미만의 모든 폐용적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BMI 지수 및 폐용적에 대한 각각의 평균값을 이용한 독립표본 T-test 결과 BMI 지수 24 이상이 BMI 지수 24 미만보다 모든 폐용적이 더 크다는 결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5). 폐기능 환기장애 유무에 따른 폐용적의 평가에서 폐기능 환기 정상성인의 모든 폐용적이 폐기능 환기 장애성인의 모든 폐용적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폐기능 환기장애 유무 및 폐용적에 대한 각각의 평균값을 이용한 독립표본 T-test 결과 폐기능 환기 정상성인이 폐기능 환기 장애성인보다 모든 폐용적이 더 크다는 결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01). 폐용적과 폐활량 검사 결과는 폐 건강을 평가하는데 가장 중요한 지표이며, 이 두 지표를 함께 사용하여 폐 기능을 평가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평가 방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폐용적과 폐활량 검사에 대한 향후 유사 연구 시 폐기능 환기 정상 성인과 폐기능 환기 장애 성인에 대한 폐용적 평균값을 제시하여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To In this study, we sought to evaluate related factors affecting lung volume and their significance in pulmonary function and ventilation disorders. As experimental subjects, 206 normal adult men and women who underwent a low-dose chest CT scan and a spirometry test were selected at the same time. The experimental method was to measure lung volume using lung CT images obtained through a low-dose chest CT scan using deep learning-based AVIEW. Measurements were made using the LCS automatic diagnosis program. In addition, the results of measuring lung function were obtained using a spirometer, and gender and BMI were selected as related factors that affect lung volume, and significance was evaluated through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ith lung volum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in evaluating lung volume according to gender, all lung volumes of men were larger than all lung volumes of women. he result of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using the respective average values for gender and lung volume showed that all lung volumes were larger in men than in women, which was significant (p<0.001). And in the evaluation of lung volume according to BMI index, it was confirmed that all lung volumes of adults with a BMI index of 24 or higher were larger than all lung volumes of adults with a BMI index of less than 24. However,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using the respective average values for BMI index and lung volume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sult that all lung volumes were larger in BMI index 24 or higher than in BMI index less than 24 (p<0.055). In the evaluation of lung volum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ulmonary ventilation impairment, it was confirmed that all lung volumes of adults with normal pulmonary function ventilation were larger than all lung volumes of adults with pulmonary ventilation impairment. And as a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the respective average values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pulmonary ventilation disorder and lung volume, the result was significant that all lung volumes were larger in adults with normal pulmonary function ventilation than in adults with pulmonary function ventilation disorder (p <0.001). Lung volume and spirometry test results are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in evaluating lung health, and using these two indicators together to evaluate lung function is the most accurate evaluation metho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by presenting the average lung volume for adults with normal ventilation and adults with impaired lung function and ventilation in similar future studies on lung volume and vital capacity testing.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Acknowledgement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율,예수영. (2023).폐용적과 폐기능 환기장애에 대한 유의성 평가.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17 (5), 767-773

MLA

김지율,예수영. "폐용적과 폐기능 환기장애에 대한 유의성 평가."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17.5(2023): 767-7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