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플랫폼과 도시공간은 어떻게 관계 맺는가

이용수 28

영문명
How do platform and urban space relate?: Research on Location and Foodscapes of Shop-in-Shop Store on Sinchon, Seoul
발행기관
한국공간환경학회
저자명
이승빈 김영대 신지연
간행물 정보
『공간과 사회』84호, 217~274쪽, 전체 5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9,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도시공간적 현상으로서의 플랫폼(화)에 관한 국내의 경험적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서 플랫폼 어바니즘의 실재를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본 연구는 서울 신촌 일대의 샵인샵 배달음식점 29개소의 입지와 경관을 중심 사례로 플랫폼과 도시공간이 관계 맺는 방식을 분석했다. 샵인샵은 하나의 점포에서 여러 개의 하위 브랜드를 동시에 운영하는 업태를 의미하는데, 특히 샵인샵 배달음식점들은 배달플랫폼을 매개로 하위 브랜드를 추가·변경·삭제하며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배달플랫폼과의 관계에서 촉진되는 도시 문화의 변형을 드러내며, 신촌의 샵인샵에서 플랫폼과 도시공간의 서로다른 입지 논리는 (어떻게) 뒤섞이는지, 그리고 이와 같은 입지 논리가 음식경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했다. 사례 점포들은 스스로의 영업에 유리한 조건으로 온라인 플랫폼의 논리와 오프라인 공간의 지역적 조건을 접합함으로써, 온·오프라인의 공간성을 혼성하는 입지를 (재)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하위 브랜드 단위의 모바일 집객 노력과는 달리, 현장의 점포 단위에서 배달 바이크 이외의 다른 접근을 배제하는 ‘캄캄한’ 음식경관을 생산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분석하며 본 연구는 플랫폼 논리가 도시공간에 그대로 이식되는 것이아니며, 플랫폼 논리와 도시공간의 지역적 요인 간의 관계 맺기 과정에서 플랫폼 도시가 공구성(co-construction)됨을 확인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plores platform urbanism from the critical approach that previous studies in South Korea have not sufficiently addressed platformization as an urban spatial phenomenon. In particular, this research analyzes the way how platform and urban space relate by focusing on the locations and scapes of 29 food delivery shop-in-shop stores on Sinchon area in Seoul. Shop-in-shop is a business type that operates multiple sub-brands simultaneously in one store, and they are easily managed to add, change and delete brands through delivery platforms. In order to reveal the transformation of urban culture facilitated by delivery platforms, this research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do the different logic of platform and urban space intermingle in shop-in-shop stores on Sinchon?” and 2) How do these logics of location affect the foodscapes? The studied stores that managed shop-in-shop food delivery were (re)constructing store locations that mix online and offline spatialities by articulating online platform logics and the local conditions of offline spaces under favorable conditions for their business. In addition, many of them were producing “dark” foodscapes at the store scale that precluded access other than by delivery bike, in contrast to their mobile efforts for attracting customers to their sub-brands. Through this analysis, this research confirms that the logic of platform is not transplanted 'just as it is' into urban space, but platform city is co-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between platform logics and local factors in urban space.

목차

1. 문제제기
2. 이론적 검토
3. 연구 대상자
4. 연구 전략 및 절차
5. 샵인샵의 분포와 ‘캄캄한’ 음식경관의 발견
6. 플랫폼 논리와 지역적 요인의 접합
7. 중첩: ‘가장자리’에서 ‘목 좋은 곳’으로의 생산
8.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빈,김영대,신지연. (2023).플랫폼과 도시공간은 어떻게 관계 맺는가. 공간과 사회, (), 217-274

MLA

이승빈,김영대,신지연. "플랫폼과 도시공간은 어떻게 관계 맺는가." 공간과 사회, (2023): 217-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