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해안에 유입된 북한 생활 쓰레기 현황과 특징

이용수 62

영문명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Household Waste Flowing into South Korea: With a focus on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product packing materials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강동완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5권 3호, 91~12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남한 동해안에 유입된 북한 생활쓰레기로부터 시작된다. 그동안 북한 쓰레기가 남한에 유입된다는 사실은 해양쓰레기 실태조사 관련 연구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환동해권 해양쓰레기 유입 등에 관한 연구에서도 주로 한국과 일본, 극동러시아 등의 유입 현황에 관한 연구는 있지만, 북한은 논의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해양학 관점이 아닌 북한학 관점에서 남한 해안에 유입된 북한 쓰레기 문제를 다루었다. 북한 생활쓰레기 중 상품포장지는 직접적으로 북한 상품 생산 현황과 브랜드 등을 알 수 있으며, 간접적으로는 북한 내 경제 상황과 상품 유통 지역망 등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동해안 지역에서 수거한 북한제품 포장지를 살펴보면 대부분 생산공장은 평양으로 표기되었다. 이를 통해 평양에서 생산한 제품이 동해안 지역으로 유통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동해안 지역은 북한을 대표하는 대도시인 원산, 청진, 함흥, 라선 등이 있는데, 실제로 상품포장지에는 이 지역 생산공장이 표기되는 사례도 있었다. 김정은 집권 이후 매년 국가적 차원에서 국가디자인전시회를 개최할 만큼 산업미술을 강조하는데, 특히 상품의 고유한 특징을 표현하는 상표도안을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주요 도시에서 생산한 제품을 중심으로 같은 품목이지만 공장별로 어떻게 상표도안이 다른지 살펴봤다. 북한 쓰레기에 대한 북한학적 시각과 해양학적 시각의 학제간 연구를 통해 남한에 유입되는 북한 생활쓰레기에 대한 연구의 폭을 넓혀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egins with North Korean household waste flowing into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The present study dealt with the issue of North Korean waste flowing into South Korean coasts from the perspective of North Korean studies rather than the old perspective of oceanography. A look at the wrappers of North Korean products collected in the eastern coast shows that most of the factories were located in Pyeongyang, which indicates that products produced in Pyeongyang were distributed to the areas along the east coast, which hold big cities representing North Korea including Wonsan, Cheongjin, Hamheung, and Laseon. At a matter of fact, some product wrappers marked a production plant located in these cities. Since Kim Jong-un seized power, North Korea has held a national design exhibition at the national level, emphasizing industrial art. There is a special emphasis on trademark designs express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The study examined how trademark designs were different for the same items among different factories with a focus on the products produced in major cities along the east coast. There is a need to broaden the breadth of studies on North Korean household waste flowing into South Korea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the viewpoint of North Korean studies and that of oceanography for North Korean waste.

목차

Ⅰ. 서론
Ⅱ. 동해안 지역에서 수거한 북한제품 포장재 현황
Ⅲ. 동해안 유입 북한 생활쓰레기의 특징 및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동완. (2023).동해안에 유입된 북한 생활 쓰레기 현황과 특징. 한국과 세계, 5 (3), 91-123

MLA

강동완. "동해안에 유입된 북한 생활 쓰레기 현황과 특징." 한국과 세계, 5.3(2023): 91-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