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후ㆍ환경 변화가 이주 및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9

영문명
발행기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저자명
장영욱 송지혜 김제국 정민지 이승호
간행물 정보
『정책연구 브리핑』KIEP 정책연구 브리핑(2023년), 1~1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14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 본 연구는 환경이주의 지역별 현황을 고찰하고, 이로 인한 노동시장 구조 변화 여부를 파악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함. - 기후변화는 해수면 상승, 가뭄, 홍수, 농업생산량 저하, 분쟁 촉발 등에 영향을 미쳐 향후 수십 년간 대륙 내와 대륙 간 이주 패턴에 변화를 야기할 가능성이 큼. - 다양한 요인으로 인한 환경이주는 이민 송출국과 유입국의 사회, 노동 및 산업구조 변화를 야기하므로 선제적인 대비가 필요함. ▶ 양국간 이주자료를 활용해 송출국의 소득수준별로 환경이주 양상을 분석한 결과, 저소득국에서는 소득 감소로 인한 이주 저해효과가 있으며 중저소득 국가와 중고소득 국가에서만 환경변화가 이민 유출로 이어짐을 확인함. - 환경이주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중소득국에 우리나라로 오는 주요 이민 송출국이 다수 포함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함. - 한국은 소득수준이 높고 기후조건이 양호하여 향후 주요 이주 목적지가 될 가능성이 높음. ▶ 본 보고서는 이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 확대,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관련 국제협력 및 개발협력 강화, 외국인력 유입 수요 예측 및 수용전략 제고 등을 정책 과제로 제시함. - 환경 요인으로 인해 이주한 이주민들의 안전한 정착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 소득불균형, 분쟁, 재난, 기후변화 등 송출국의 이주 송출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개발협력 지원이 병행되어야 함. - 향후 기후변화가 가속될 경우 한국이 주요 이주 목적지가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외국인력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선제적인 예측과 이에 따른 수용전략을 정교화해나가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함.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영욱,송지혜,김제국,정민지,이승호. (2023).기후ㆍ환경 변화가 이주 및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책연구 브리핑, 2023 (), 1-13

MLA

장영욱,송지혜,김제국,정민지,이승호. "기후ㆍ환경 변화가 이주 및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책연구 브리핑, (2023): 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