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소기업 근로자의 학습지원 환경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5
- 영문명
- The effects of SMEs employees’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on innovative work behavior :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self-efficacy and Eemployee engagement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이승율 박지원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8권 제1호, 67~9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급변하는 경영 환경에서 조직이 생존하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원의혁신적 업무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구성원들이 혁신행동을 적극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요인과 환경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학습지원 환경을 독립변인, 자기효능감과 직원몰입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학습을 촉진하는 지원환경에 따라 어떠한 과정을 통해 혁신적 업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혁신적 업무행동이 유발되는 과정의 이해를 통해 HRD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종사자 수 300인 미만 중소기업에 1년 이상 재직한 근로자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표본을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지원 환경은 혁신적 업무행동, 자기효능감, 직원몰입 모두에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은 직원몰입과 혁신적 업무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직원몰입은 세 가지 변인 중 혁신적 업무행동에 가장큰 직접적인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직원몰입 모두 학습지원 환경과 혁신적 업무행동 사이에서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자기효능감과 직원몰입의 이중매개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지원 환경의 효과성을실증하고, 중소기업 HRD 연구의 확장이라는 학문적 시사점과 실제 조직에서 필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발전을 위한 보완점 및 추가 연구과제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for organizations to survive and be competitive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nd environments in which members can actively realize innovative behavior. The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was trea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self-efficacy and employee engagement were considered as mediating factors affects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HR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in which innovative work behavior is induced.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00 workers who have worked at SMEs with less than 300 employees for more than a year,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all of innovative work behavior, self-efficacy, and employee engagement, an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In addition, both self-efficacy and employee engagemen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efficacy and employee engagement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좋은 상담교사’에 대한 예비 교원의 인식
- 영어어문교육 제29권 제3호 목차
- From Reading Nonsensical Jabberwocky to Proposing Topics for English Pedag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