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울시 행정동별 도시공간구조 특성이 수송부문 탄소 배출량 발생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이용수 2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Urban Spat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by Administrative District in Seoul on Carbon Emissions in the Transport Sector: by Applying Urban Block Unit Micro-Trips Calculat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지역개발학회
- 저자명
- 윤진성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역개발학회지』제35권 제1호, 143~15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calculated road traffic carbon emissions based on micro-road traffic volume within urban block for Tier 3 applic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each administrative division in Seoul on carbon emiss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deriv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carbon emission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Tier 3 calculation formula, it was derived in a direction similar to that of previous studies, so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Tier 3 calculation formula to estimate carbon emissions in microscopic space units. Second, in order to reduce carbon emissions, mixed land use in the form of a compact city is required, and in terms of land use, areas that are not in the form of a compact city may appea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reflect land use characteristics. Third, in traffic characteristics, of highways (including urban freeway) and number of bus station was found to be a factor that increased carbon emissions. Sinc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ppear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propose urban transportation policies considering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policy eff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 order to reduce carbon, urban spatial structure policies according to gradual changes in land use characteristics and urban transportation policies considering them must be implemented.
목차
1. 서론
2.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3. 분석방법론
4. 분석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진광 교수의 「못다 한 강의: 현실 세계와 학문 세계」
- 지역균형발전 제도에 관한 연구
- 데이터기반 도시계획을 위한 도시변화 모니터링 기초연구
- 고령자의 비통근통행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거주지 근린환경 특성 분석
- 서울시 행정동별 도시공간구조 특성이 수송부문 탄소 배출량 발생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전라북도 태양광 발전시설 규제 현황 및 정책 개선방향에 대한 제언
- 제도주의 지역개발학을 향하여
-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35권 제1호 목차
- 사회적 약자 집단별 삶의 만족도 지역 간 격차와 지역 역량 요인
- 교통 접근성과 인구・사업체 밀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SNS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부산 영도의 관광객 핫플레이스 도출 및 유형분석
- 지역 관련 연구 및 정책에 있어서 지역 개념의 부정합성에 관한 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India's Strategic Foreign Aid: 'The China Factor' in India's Foreign Aid Allocation
- 이승만의 열린 세계관 형성과 옥중 서역(書役)
- 한국외교와 전략적 자율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