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고령부모와 노인자녀의 노화에 대한 인식

이용수 198

영문명
Self-Perceptions of Aging Among Very Old Parents and Their Old Children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김주현 김경민 민주홍 김이정 Kathrin Boerner 한경혜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43권 1호, 21~3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와 자녀 모두 노인으로 구성된 노(老)-노(老) 세대 조합 내에서 노인자녀와 초고령부모가 자신의 노화를 어떻게인식하고 있으며, 건강상태와 돌봄 경험이 그들의 노화 인식과 관련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의 노인자녀와그들의 초고령부모(배우자의 부모 포함) 105쌍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노화 인식은 자신의 노화에 대해 얼마나 긍정적으로 인식하는지를 통해 측정하였고, 돌봄 경험의 양적 측면은 노인자녀가 초고령부모에게 제공한 지원 정도로, 질적 측면은 노인자녀의 부양부담과초고령부모의 부양만족을 통해 측정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초고령부모들은 노인자녀들에 비하여자신의 노화를 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부모-자녀 간의 노화 인식은 정적인 상관을 보여주었는데, 즉 초고령부모가 자신의노화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노인자녀들의 노화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이었다. 셋째, 노인자녀의 노화 인식은 돌봄의 질적 측면인부양부담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는데, 초고령부모에 대한 부양부담이 높을수록 노인자녀들의 노화에 대한 인식이 덜 긍정적이었다. 넷째, 초고령부모의 노화 인식은 부모 자신의 건강상태와 돌봄의 질적 측면인 부양만족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즉, 부모 자신의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그리고 자녀로부터 받는 돌봄에 만족할수록 자신의 노화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노년기 노화 인식에서 건강이 갖는 중요성을 확인해 줌과 동시에, 노화 인식이 개인적 특성뿐 아니라 세대관계의 맥락에 의해 영향받을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Research has consistently reported the importance of self-perceptions on aging for older adults’ health and well-being. However, less is known about how intergenerational experiences are shaping how older adults view age-related changes and aging itself.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very old parents(81+) and their old children(65+) view their own aging and whether their health status and care experiences are associated with self-perceptions on aging within the prolonged relationship constellation—where parents and children age together. We analyzed data from 105 dyad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South Korea. Very old parents reported less positive self-perceptions of aging than their children; very old parents’ self-perceptions of ag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child’s self-perceptions of aging. A path model predicting parents’ and children’s self-perceptions of aging showed that own subjective experiences of care within the dyads were significant for both parents’ and children’s self-perceptions of aging, while own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 only for parents’ self-perceptions of aging. For old children, more caregiving burden was associated with less positive self-perceptions of aging; for very old parents,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care received from the child and fewer functional limitation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associated with more positive self-perceptions of aging. The findings highlight the interdependence of self-perceptions of aging within the parent-child dyads in very late life, suggesting that care experiences within the prolonged relationship constell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older adults’ views on age-related gains and lo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현,김경민,민주홍,김이정,Kathrin Boerner,한경혜. (2023).초고령부모와 노인자녀의 노화에 대한 인식. 한국노년학, 43 (1), 21-38

MLA

김주현,김경민,민주홍,김이정,Kathrin Boerner,한경혜. "초고령부모와 노인자녀의 노화에 대한 인식." 한국노년학, 43.1(2023): 2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