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린이집 3차 평가인증 지표의 적용에 대한 평가인증 컨설턴트와 보육교직원의 인식비교

이용수 2

영문명
The Perceptions of Evaluation Accreditation Consultants and Teaching Staffs on the 3rd Child Care Center Evaluation Accreditation
발행기관
한국아동부모학회
저자명
최재경 김수향
간행물 정보
『아동부모학회지』제2권 2호, 5~2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3차 평가인증이 안정되게 정착 되고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은 경북 포항시 보육교직원 206명과 전국의 평가인증 컨설턴 트 82명을 포함하여 총 288명이다. 연구도구는 서예석(2015)의 연구에서 활용한 설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설문 조사 기간은 2015년 12월 3일부터 2016년 3월 10일까지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컨설턴트 와 보육교직원은 평가인증 3차 지표에 대해 대체로 어렵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원장과 보육교사는 자체평가 평가점수 에 대해 객관적이라고 인식한 반면, 컨설턴트는 주관적이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원장과 컨설턴트는 실제 평가인증 결 과점수가 자체평가 점수보다 낮을 것이라고 인식하였지만, 보육교사는 자체평가와 실제평가점수는 차이가 없을 것이라 고 인식하였고, 컨설턴트와 보육교사는 평가인증 3차 지표 적용시기를 3차 평가인증 시행 후 3차 지표를 적용하겠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고, 원장집단은 3차 평가인증이 시행하더라도 2차 지표 적용하겠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3차 지표를 준비하는데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할 것이라고 여겨지는 영역에 대하여 보육교사는 ‘보육환경영역’이라고 응답한 반면, 원장과 컨설턴트는 ‘보육활동과 상호작용영역’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컨설팅 신청이 필요한 정도에 대해 보육교직원과 컨설턴트 모두 ‘모든 영역에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 3차 평가인증에 대 한 보육교직원의 인식차이를 해소하고, 안정된 정착을 위하여 3차 평가인증에 대한 교육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materials to improve child care service on a qualitative level by utilizing the 3rd evaluation accreditation as best as we can. The research targets are 206 teaching staffs of child care centers in Pohang, Gyeongbuk and 82 evaluation accreditation consultants all over the country. Thus, the total number of the subjects are 288. As a research tool, we adopted the questionnaire of 'The Awareness of Teaching Staffs on the 3rd Child Care Center Evaluation Accreditation' utilized in Suh, yea suk's(2015) research.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teaching staffs and the consultants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index for the 3rd evaluation accreditation. Second, while the directors and the teachers recognized the self evaluation grade as objective, the consultants evaluated them as subjective. Also, the directors and consultants guessed that the real evaluation grade would be lower than the self evaluation by themselves. However,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re would be no difference between the external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 by themselves. Third, about the time of the application for the 3rd index evaluation accreditation, the consultants and the teachers were planning to adopt the 3rd index after carrying out the 3rd evaluation accreditation. However, the directors replied that they would still apply the 2nd evaluation accreditation even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3rd evaluation accreditation. Forth,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 domain of ‘the overall child care environment’ will take time the most preparing for its implementation. On the other hand, the directors and the consultants responded that ‘the child care activity and interaction’ need more preparation. Additionally, the teaching staffs and consultants considered that the consulting would be necessary ‘in all the domains’. Consequently, it is required to vitalize the 3rd evaluation accreditation education in both on-line and off-line to improve all parties’ in-depth recognition about the 3rd child care center evaluation accredit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재경,김수향. (2016).어린이집 3차 평가인증 지표의 적용에 대한 평가인증 컨설턴트와 보육교직원의 인식비교. 아동부모학회지, 2 (2), 5-29

MLA

최재경,김수향. "어린이집 3차 평가인증 지표의 적용에 대한 평가인증 컨설턴트와 보육교직원의 인식비교." 아동부모학회지, 2.2(2016): 5-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