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방사선 환경에서 두부 방사선검사 시 진단참고수준 검사조건에 대한 고찰

이용수 26

영문명
A Study on the Diagnostic Reference Level of Skull Radiography in Digital Radiography
발행기관
한국방사선학회
저자명
정연진 주영철 홍동희 김상현
간행물 정보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제16권 제7호, 897~904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방사선 환경에서 두부 방사선검사 시 진단참고수준(DRL)에서 제시하는 검사 조건과 현재 임상에서 적용하고 있는 검사 조건 적용 시 선량과 화질의 차이 비교를 통해, 디지털 방사선 환경에 적절한 두부 방사선검사의 조건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두부모형팬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조건은 임상에서 사용하는 조건(Clinic)과 DRL값(DRL75), DRL 평균값(DRLmean)으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선량은 입사표면선량(ESD)을 측정하였고, 화질은 신호 대 잡음비와 대조도 대 잡음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검사 조건 변화에 따른 skull AP ESD의 평균값은 Clinic 1214.03±4.21 µGy, DRL75 3017.83±8.14 µGy, DRLmean 2283.50±7.09 µGy이었으며, skull Lat. ESD의 평균값은 Clinic 762.79±3.54 µGy, DRL75 2168.57±10.83 µGy, DRLmean 1654.43±6.48 µGy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안와, 상악동, 전두동, 터키안장에서 측정한 SNR과 CNR의 평균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본 연구 결과 임상에서 사용하는 조건이 DRL에 비해 AP는 약 58%, Lat.은 약 70% 정도의 낮은 선량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화질 측면에서 정성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 방사선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진단참고수준에 대해 고려해 볼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른 선량의 저감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dose and image quality when applying the diagnostic reference level (DRL) test conditions for head radiography in a digital radiation environment and the test conditions currently applied in clinical practice. I would like to review the conditions of radiographic examination. In this study, the head model phantom was targeted, and the investigation conditions were divided into clinical conditions (Clinic), DRL value (DRL75), and DRL average value (DRLmean). For dose, Enterance surface dose (ESD) was measured, and for image quality, signal-to-noise ratio and contrast-to-noise ratio were measured and analyzed for comparison. The average values of skull anterior posterior(AP) ES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est conditions were Clinic 1214.03±4.21 µGy, DRL75 3017.83±8.14 µGy, DRLmean 2283.50±7.09 µGy, and skull lateral (Lat). The average value of ES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Clinic 762.79±3.54 µGy, DRL75 2168.57±10.83 µGy, and DRLmean 1654.43±6.48 µGy (p<0.01). The average values of SNR and CNR measured in the orbital, maxillary sinus, frontal sinus, and sella turcica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As a result of this study, compared to DRL, the conditions used in clinical practice showed lower dose levels of about 58% for AP and about 70% for Lat., and there was no qualitative difference in terms of image quality.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new diagnostic reference level suitable for the digital radiation environment,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dose should be reduced accordingl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연진,주영철,홍동희,김상현. (2022).디지털 방사선 환경에서 두부 방사선검사 시 진단참고수준 검사조건에 대한 고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16 (7), 897-904

MLA

정연진,주영철,홍동희,김상현. "디지털 방사선 환경에서 두부 방사선검사 시 진단참고수준 검사조건에 대한 고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16.7(2022): 897-9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