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ynthetic MR 기법을 이용한 금속 인공물 감소 효과 평가
이용수 27
- 영문명
- Evaluation of Effect of Decrease in Metallic Artifacts using the Synthetic MR Technique
- 발행기관
- 한국방사선학회
- 저자명
- 권순용 안남용 오정은 김성호
- 간행물 정보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제16권 제7호, 835~84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금속 인공물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 synthetic MR 기법의 효과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척추 수술용 나사로 제작된 팬텀을 대상으로 synthetic MR 기법과 고속 스핀 에코 기법을 적용하여 in-plane과 through-plane 영상을 획득하고 금속 인공물의 면적을 비교해 보았다. 금속 인공물은 signal-loss와 signal pile-up 영역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고 둘의 합을 통해 최종 인공물의 면적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in-plane, through-plane 모두 synthetic MR 기법을 적용했을 때 상대적으로 금속 인공물이 감소하였다. 시퀀스 별로 비교하면 in-plane의 경우 T1 영상은 23.45%, T2 영상은 20.85%, PD 영상은 19.67%, FLAIR 영상은 22.12% 감소하였다. 또한 through-plane의 경우 T1 영상은 62.95%, T2 영상은 73.93, PD 영상은 74.68%, FLAIR 영상은 66.43%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은 synthetic MR 기법 적용 시 signal pile-up에 의한 왜곡이 발생하지 않아 전체 금속 인공물의 크기가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synthetic MR 기법은 매우 효과적으로 금속 인공물을 감소시킬 수 있어 영상의 진단적 가치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synthetic MR technique in reducing metal artifacts. In the experiment, the in-plane and through-plane images were acquired by applying a synthetic MR technique and a high-speed spin echo technique to a phantom manufactured with screw for spinal surgery. The area of the metal artifact was compared. The metal artifacts were measured by dividing the signal-loss and the signal pile-up areas, and the area of the final artifact was calculated through the sum of the two. As a result, the metal artifacts were relatively reduced when the synthetic MR techniques were applied to both in-plane and through-plane. Comparing by sequence, the in-plane T1 images decreased by 23.45%, T2 images by 20.85%, PD images by 19.67%, and FLAIR images by 22.12%. Also, in the case of the through-plane, the T1 image decreased by 62.95%, the T2 image decreased by 73.93%, the PD image decreased by 74.68%, and the FLAIR image decreased by 66.43%. The cause of this result is that when the synthetic MR technique is applied, the distortion is due to the signal pile-up and does not occur and the size of the entire metal artifact is reduced. Therefore, synthetic MR technique can very effectively reduce metal artifacts, which can help to increase the diagnostic value of imag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Acknowledgements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산화단층촬영 테이블의 에어 매트리스 적용에 따른 환자의 편안함과 화질 변화
- 픽셀내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듀오픽스TM 엑스선 영상센서 제작
- 방사선학 전공 학생의 비대면 전공 실습 수업에 대한학습효과와 만족도에 관한 고찰
- 3D 프린터 필라멘트 재료를 이용한 뼈와의 비교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 Synthetic MR 기법을 이용한 금속 인공물 감소 효과 평가
- 초음파 검사 영상의 정량적인 측정 연구를 통한 지방간 분석
- 유방암 방사선치료에서 Field-in-Field (FIF) 기법의조사면 주변 선량 분석
- 디지털 방사선 환경에서 두부 방사선검사 시 진단참고수준 검사조건에 대한 고찰
- 초음파 장비에 따른 정도관리와 화질 비교
- 비알코올성 지방간 소견을 보이는 성인에 대한 간 기능 및 hs-CRP 혈액 검사 항목 평가
- COVID-19 전·후 임상 실습생의 만족도 평가를 통한방사선학과 실습 운영 방향에 대한 제언
-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사용 시 단일 세포의 핵 크기 변화에 따른 흡수선량 분석
- 방사선(학)과 방사선 안전관리제도의 문제점과 법적 개선방안
- ConeBeam CT로 임플란트 검사 시 MAR 기능 유무와 선량조건에 따른 정량적 및 정성적 평가
- 토모다이렉트를 이용한 3차원 전뇌 방사선치료에서 두상 각도에 따른 치료계획평가
- 검출기 측정 용적에 따른 Dosimetric Leaf Gap 변화와 정확성 검증에 대한 연구
- 자동노출제어장치 유·무에 따른 흉부 후·전방향 검사 시 관전압 변화에 따른 선량 및 영상평가
- 경추 신경공 골성 협착에서 CT 재구성 각도 연구
- 100-MeV 양성자 빔을 이용하여 169Tm(p,3n)167Yb 반응에 의해 생성된 167Yb 방사성동위원소에서 방출되는 감마선 스펙트럼 비교 연구
- 어깨 회전근개 파열 진단을 위한 초음파 검사와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진단적 유용성 연구
- 선형 탐촉자에서 관심 시각 영역 변화에 따른 화질 분석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제16권 제7호 목차
- 단계적 척추 분절운동을 유도하는 기계식 온열 마사지가 통증 개선에 미치는 영향
-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시 2차 발암 확률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