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후기 화폐의 기능과 그 의미
이용수 56
- 영문명
- A Study of the Currency’s Func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Focused on High School Textbook’s Usage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저자명
- 유현재
- 간행물 정보
- 『문화와융합』제44권 11호, 1113~112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전근대 화폐의 성격을 다시 확인하고 이를 통해 조선후기 화폐가 유통된 원인과 그 결과에대해 새롭게 규명하였다. 역사적으로 화폐는 자본주의가 시작된 이후 경제적 의미의 교환수단으로 널리활용되었다. 하지만 전근대 화폐의 경우 근대의 화폐와 비교할 때 실제 유통과 그 역할이 매우 달랐다. 특히 전근대 화폐의 경우 그 목적이 정부의 재정정책과 맞물려 있는 경우가 많았고 이러한 면모는 17 세기 조선의 화폐유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과서와 한국사 개설서에소개된 조선시대 화폐의 기능을 재정적인 측면에서 점검하여 전근대 유통의 양상과 그 성격을 바로잡고 이해의 새로운 방식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nfirmed the nature of pre-modern currency and examined the causes and results of currency circul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ince the beginning of capitalism, money has been widely used as a medium of exchange for economic reasons. However, in the case of pre-modern currency, the background of commerce was very different, and the nature of the currency that mediated it was inevitably limited. Therefore, in the case of pre-modern currency, the purpose was often linked to governmental fiscal policy,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Joseon, it is remarkable compared to other East Asian countries. There are many areas that cannot be well interpreted in the way that Joseon's monetary policy was explained in textbooks and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the lay person and non-academics. Therefore, this paper was prepared to check and correct the explanation of the function of money in the Joseon Dynasty from a financial perspective and provide a new way of understanding.
목차
1. 서론
2. ‘상품 화폐경제’틀 속 화폐의 성격과 문제점
3. 전근대 화폐의 다양한 기능
4. 재정이익의 관점에서 본 상평통보의 효용성
5. 민간 차원의 동전활용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와 융합 제44권 11호 목차
- 통영연극예술축제의 브랜드 구축 방안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재의 텍스트 분석
- 교외 활동 연계 성찰글쓰기 수업 기법의 제안
- 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자기 주도적 과업 활동 사례연구
- 비대면 기반 학습자 상호학습 연구
- 오키나와-여성의 영화적 재현을 둘러싼 탈-페티시즘의 (불)가능성
- 만화애니메이션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원장 전문성과 유아교사 놀이상호작용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기관 조직문화의 매개효과
- 청소년 기관에 소속되지 않은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선택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돌봄서비스 공공성 확보를 위한 종합재가센터 운영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지방대학의 신입생 대상 중도탈락 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 50대 중산층 중년여성의 부부 갈등 경험을 통한 정체성 재정립의 현상학 연구
- 사고의 ‘표현’을 위한 현실적 제안
- 영화 <롼링위>와 <황금시대>를 통해서 본 홍콩 영화의 정체성 변화 연구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 중국의 지역 간 문화 소비 격차 요인에 관한 분석
- Bowlby 애착이론의 핵심 개념인 “내적작동모델”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불안, 주관적 행복감,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장애전담교사의 보육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사고와 표현> 교과목에서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을 활용한 수업사례 연구
- 원격수업에서 능동적 협력적 학습활동, 학습몰입이 대학생 소통, 융합, 창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 가족희생설화에 나타난 효의 균열 양상과 가족공동체의 문화적 의미
- 조선후기 화폐의 기능과 그 의미
- 대학 인성교육 현황 연구
- 동료 지도 학습을 활용한 논증적 글쓰기의 교수·학습 연구
- 대학내 글쓰기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간의 상호 보완 방안 연구
- 아쿠타가와의 역사소설에 나타난 예술적 미학
- 장애 여성 김지영
- 로컬크리에이터의 디지털 플랫폼 활용 연구
- 대학 교직원의 조직비전 인식, 집단효능감, 직무열의 간 관계
- 병렬적 역사 어휘 사전의 일관성 유지를 위한 쟁점 연구
- 증권사 모바일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게이미피케이션 요소에 관한 연구
- 한지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한·중·일 전통종이 제작기술 비교연구
- 통사적 타동성을 지닌 피동문에 대한 연구
- 플립러닝 기반 그림책 중심 유아 문화예술교육 수업 사례 연구
- 패키지 여행상품에서 관광객이 평가하는 여행 가이드의 역할에 대한 의미 고찰
- 중년부부의 갈등과 친밀감에 있어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다중사례 분석을 통한 택견 소셜 미디어의 특성
- 일본인 실무자를 위한 독학용 비즈니스 한국어교재 개발의 방향
- 국내·외 예술대학 융복합 교육과정 연구
- 시바(Shiva)신화를 통한 하타요가와 바라타나티얌의 유사구조 연구
-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장애와 질병의 통시적 고찰
- 객관적 이유 유무 상황에 따른 한·중 대학생의 거절 화행 전략 비교 연구
- 한국어적 사고로 바라본 중국어의 언어구조 고찰
- 스마트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에 관한 델파이 분석
- 로우코드/노코드 개발 시스템에서의 시민 개발자 역량 및 개발 프로세스 연구
- 이호철 소설 『소시민』에 나타난 탈식민적 인물 연구
- 영화 <뷰티풀 마인드>에서 수학과 음악의 융합 효과
-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의 남한 사회에서의 교육경험 연구
- 국내 외국인근로자(E-9) 대상 휴먼서비스 효과성 연구
- 일제강점기 영산강 유역 양잠 생산의 지역적 재편
- 정치적 선호에 따른 심리적 특성 탐색
- 국내 시설노인 대상 음악중재연구 분석
- 국내 베트남인 유학생의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 탈북대학생의 영어 학습 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SWOT-AHP 분석을 이용한 중국 뮤지컬산업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 공공기업가정신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체육고등학교 학생 선수들의 영어 학습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언론에 노출된 외국인 마약사범 사례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청중 활동 연구
- 메타버스 강의 개발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소양교육 교과 현황 연구
- 미니멀리즘 작곡기법을 활용한 음악과 영상의 상호작용 연구
- 다차원적 음성평가를 이용한 예비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음성 특성 분석
- 대학 도서관내 메이커공간 도입과 활성화 방안 연구
- 스몰웨딩 드레스 기획을 위한 판매 상품 및 소비자 선호도 분석
- 쓰기 수업에서 교사의 피드백 효과에 대한 단기 종단연구
- 劉揚忠의 唐宋詞 流派에 대한 주요논지 고찰
- 조선 후기 여성 복식에 표현된 욕망의 의미
- 중국 내 다국적 제약사의 노동 관리 전략과 실천
- 다국적 기업의 현지화 광고 제작 과정에서 나타난 체육계 전문가의 문화 매개 경험
- <와호장룡>의 색채와 음악의 융합 연구
- 2022 한국문화융합학회 규정집
- 고전문학 학습자의 디지털 매체 전환 과정의 설계와 실천
- 문화와 융합 제44권 11호 표지
- 수용미학적 관점을 통한 메타버스 플랫폼 아이돌 마케팅 성공요인 연구
- 음악의 치료적 활용을 위한 디지털 기술 융합 연구 고찰
- 독거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 영향 요인 연구
- 미술사 융․복합교양 교과목 문화 체험 운영사례
- 온라인-언택트 시대의 언어 사용 양상과 적절한 언어 사용 교육에 대한 메타적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주 주요관광지의 서비스 만족도 인식에 관한 연구
- 메타버스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 대학생의 교양수업 인식과 교양교육과정 개선 요구 분석
- TikTok을 활용한 음악 홍보 현상에 대한 고찰
- 애니메이션 <코코> 속 가곡 서사 방식 및 특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