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발제한구역 훼손지복구사업의 개선방안

이용수 35

영문명
Improvement Plan for the Restoration of damaged Site Develpoment Restricted Zones
발행기관
한국주거환경학회
저자명
최완호(Choi Wan-Ho) 이상덕(Lee Sang-Deok) 장희순(Jang Hee-Soon)
간행물 정보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0권 제3호 (통권 제57호), 321~34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여 공익사업을 시행함에 따른 훼손지 복구사업 현황을 파악하고, 이의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경기도 내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여 공공주택지구를 지정한 지역과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훼손지이다. 연구방법은 2018년~2021년 사이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 심의안건으로 제출된 9건의 훼손지 복구 계획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개 자치단체 86개 후보지 중 22개소(25.6%) 만이 적합이고 64개소는 부적합 결정이 내려졌다. 부적합으로 결정된 가장 큰 원인은 ‘훼손율 미달’이다. 훼손지 복구사업의 도입 취지와 개발제한구역 제도의 목적에 비추어 볼 때 훼손지 복구사업은 원형복구가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훼손지 복구사업을 제도의 취지대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복구대상지 요건을 완화하여 복구대상 후보지를 넓히고 이 중에서 가장 적절한 후보지를 복구하여야 한다. 「업무처리규정」 제7조 제2항을 ‘훼손율 30% 이상’과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시 20% 이상’으로 개정하면, 보다 많은 훼손지를 복구할 수 있다. 「업무처리규정」 제7조 제3항의 부지 당 면적 규정을 ‘1만㎡ 이상’에서 ‘5,000㎡ 이상’으로 완화하면 114개 지구가 추가로 검토 가능하므로 보다 많은 훼손지 복구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damaged site restoration projects result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service projects by lifting development restrictions, and to suggest a reasonable improvement plan. The spatial extent of this study is the area designated as a public housing district by lifting the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in Gyeonggi-do and the damaged area of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9 damaged site restoration plans submitted to the Central Urban Planning Committee for deliberation between 2018 and 202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ly 22 (25.6%) of the 86 candidate sites in 6 local governments were suitable and 64 were inappropriate. The biggest cause of the decision as nonconformity is 'under the damage rate'. In view of the purpo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damaged site restoration project and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restricted zone system, it is most desirable for the damaged site restoration project to restore its original form. 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the damaged site restoration projec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ystem,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andidate sites for restoration by easing the requirements for restoration sites and restore the most appropriate candidate sites. If Article 7 (2) of the 「Business Processing Regulations」 is amended to 'damage rate of 30% or more' and '20% or more at the time of deliberation by the Central Urban Planning Committee', more damaged site can be restored. If the area per site regulation under Article 7 (3) of the Business Processing Regulations is eased from “more than 10,000㎡” to “more than 5,000㎡”, 114 additional districts can be reviewed, so more damaged land can be recovered.

목차

Ⅰ. 서 론
Ⅱ. 일반적 고찰
Ⅲ. 훼손지 복구사업 현황
Ⅳ. 사례분석
Ⅴ. 훼손지 복구사업의 개선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완호(Choi Wan-Ho),이상덕(Lee Sang-Deok),장희순(Jang Hee-Soon). (2022).개발제한구역 훼손지복구사업의 개선방안.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20 (3), 321-340

MLA

최완호(Choi Wan-Ho),이상덕(Lee Sang-Deok),장희순(Jang Hee-Soon). "개발제한구역 훼손지복구사업의 개선방안."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20.3(2022): 321-3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