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후난민의 인권 보호 — 강제송환금지원칙을 중심으로 —

이용수 482

영문명
Protecting the Human Rights of Climate Refugees- Focusing on the Principle of Non-Refoulement
발행기관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저자명
김선희(Sun-Hee KIM)
간행물 정보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第28卷 第2號, 127~15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전 세계가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폭염, 가뭄, 산불, 홍수 등 기후변화에 따른기상이변과 환경파괴로 위기를 마주하고 있으며, 환경 또는 기후적 요인으로 실향민이 되는 사람들의 수가 급증할 것이라는 예측이 강화되는 가운데, 아직까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고향을 떠난사람들을 일컫는 용어에 대해서조차 국제사회에서 합의된 법적 개념정의는 없다. 기존의 박해 등의사유로 본국을 떠난 사람들을 가리키는 난민협약상의 “난민”의 정의에 이들을 포섭할 수 있는지에대한 이견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엔을 중심으로 국제난민법제와 국제인권법제를 통해서 환경적 요인으로인하여 고향을 떠난 사람들을 보호할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특히, 2020년 유엔자유권규약위원회(UN Human Rights Committee)는 Ioane Teitiota v. New Zealand 사건에서 원칙적으로 국가가 기후변화로 인하여 해당인이 생명의 위협을 받을 위험이 있거나 잔인하고 비인도적, 모멸적인 처우를받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송환해서는 안되며 일정한 경우에는 송출국에 국제인권법상 강제송환금지 의무가 발생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동 결정은 기후변화로 인하여 생명에 위협을 받는 사람들을 향후 보호해 줄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입지전적인 결정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탈리아 대법원과 프랑스 항소법원도 동 결정을 직접 인용하며 기후난민을 인정하는 판결을내리는 등 유엔자유권규약위원회의 결정은 비록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여러 국가의 사법판결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다. 현재의 기후변화와 환경위기는 국지적인, 산발적인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현상으로,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에 관한 파리협정, 1951년 난민협약과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의 협약국임에도 불구하고, 이 주제에 대한 논의가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유엔을 중심으로 깨끗하고 건강하며 지속가능한 환경에 대한 권리를 인권의 문제로 선언한 오늘날, 우리나라도 국제사회의 책임감 있는 일원으로서, 인권수호국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환경적 요인으로 고향을 떠나게 되는 사람들을 포용할 수 있는 정책에대한 논의를 시급히 시작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e global community is facing extreme weather events due to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There are alarming reports that the number of environmentally displaced persons will increase exponentially. However, there is no internationally agreed terminology or definition regarding people who have left their homes due to environmental reasons. There are differing opinions regarding whether these people are persecuted, and thus can be entitled to a refugee status under the 1951 Refugee Convention. Despite the controversy, international agencies including the UN have proposed ways to protect people displaced from their homes due to environmental reasons via international refugee law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n particular, in 2020, the UN Human Rights Committee in Ioane Teitiota v. New Zealand case adopted the view that people must not be sent back to countries where there is a real risk of irreparable harm to their right to life upon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including torture, ill-treatment and other serious human rights violations, which will trigger the the obligation of non-refoulement on States. This decision is hailed as a landmark decision that opens up the road to protect people whose life is threatened due to climate change. Although UNHRC’s decision is not binding in nature, it has indeed influenced courts in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Italian Supreme Court and Bordeaux Court of Appeals.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crisis is no longer a localized issue, and is happening simultaneously all around the world. Korea is no exception. Despite the fact that Korea is also a signatory to the Paris Agreement, 1951 Refugee Convention an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there have been little discussion on this topic. The UN Human Rights Council has recently recognized that having a clean, healthy and sustainable environment is a human right. Against this backdrop, Korea, as a responsible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upholds human rights must start drawing up policies to accommodate environmentally displaced persons.

목차

Ⅰ. 서론
Ⅱ. 환경(기후) 난민(이주민)의 개념
Ⅲ. 유엔자유권규약위원회의 2019년 Ioane Teitiota v. New Zealand 결정
Ⅳ. Ioane Teitiota 결정의 평가와 전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희(Sun-Hee KIM). (2022).기후난민의 인권 보호 — 강제송환금지원칙을 중심으로 —. 세계헌법연구, 28 (2), 127-156

MLA

김선희(Sun-Hee KIM). "기후난민의 인권 보호 — 강제송환금지원칙을 중심으로 —." 세계헌법연구, 28.2(2022): 127-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