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月沙 李廷龜의 山水遊記 양상과 특징

이용수 9

영문명
A study about Lee, jeonggui(李廷龜)’s sansuyugi (山水遊記, travels)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權津鈺(Kwon, Jin-ok)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86호, 197~22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月沙 李廷龜(1564~1635)가 창작한 한문 산문 가운데 山水遊記를 대상으로 그 양상과 특징을 규명한 글이다. 동시대 대표적인 작가 그룹인 한문 사대가 중에서도 단연 이정귀의 산수유기가 많았던 점은 그가 산수유기를 문학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글쓰기 장르로 분명하게 인식하여 적극적으로 창작 활동을 벌인 결과이다. 『遊三角山記』는 이정귀의 산수유기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젓대 연주에 대한 애착이 잘 드러난다. 『유삼각산기』는 신선 세계를 노니는 듯한 인상을 시종 풍기고 있는데, 이는 유람지의 정경이 신선 세계를 상상케 하는 동시에 그에 짝하는 젓대 소리의 울림이 끊이지 않고 등장하기 때문이다. 이정귀 자신이 산중 유람에서 젓대 소리는 빠질 수 없는 것이라고 언급한 것처럼, 그의 산중 유람은 신선 세계와의 간접 경험을 자아내고, 그것의 흥취를 돋우기 위해서 유독 젓대 연주를 강조하였던 것이다. 또한 이정귀는 젓대 소리와 신선 세계를 피상적이거나 감각적으로 인식을 했던 것이 아니라 분명히 용례나 전거를 인식하여 활용하였다. 아울러 이정귀는 이 젓대에 대해 癖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애착이 있었다. 산수유기에서의 익살은 글을 더욱 생동감 있고, 정겹게 해주는 구실을 하는데, 이정귀의 『遊金剛山記』에는 이러한 익살이 다른 작품에 비해 특기할 만하다. 이정귀의 여타 산수유기에서는 이와 같은 익살스러운 일화는 보이지 않는다. 이는 이러한 일화들이 20여 일에 걸친 장편의 『유금강산기』가 자못 지루해지는 것을 해소해 주기 때문이다. 또한 『유금강산기』의 단락 구성이 순차적인 일기체가 아니라 특정 기사에 따른 일기체 구성이기 때문에 이러한 일화들을 특기한 것이다. 『遊松嶽記』는 기우제를 지내기 위해 오르는 첫 번째 등정과 기우제를 지낸 다음날의 두 번째 등정으로 나뉜다. 松嶽山 내적인 풍경 묘사와 외적인 풍경 묘사가 기우제를 기점으로 구분되는 것이 특징인데, 전자는 기우제를 지내기 전의 헌관으로서의 엄숙함과 경건함을 은근히 드러내는 표현이고, 후자는 기우제를 지내고 난 후 개인의 흥취를 위해 오르는 등정임을 자부하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은 특히 柳宗元 『永州八記』의 경물 묘사의 영향을 받았는데, 몇몇 부분들은 이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 묘사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이 작품은 그 표현의 측면에서 기존의 다른 작가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차용하고, 마찬가지로 이정귀의 이 작품을 후대의 작가가 차용한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益齋 李齊賢의 『重修開國律寺記』와 冠巖 洪敬謨의 『西征記』를 통해 알 수 있는데, 이제현에 대해 이정귀가 오마주[hommage]를 한 것처럼, 홍경모 역시 이정귀에 대해 오마주를 한 것이다. 특히 홍경모 같은 경우는 집안이 대대로 장서가였고, 우리나라 역대의 유기를 모은 『臥遊錄』도 소장하고 있었다. 게다가 홍경모 자신도 평소 유기 창작을 애호하여 『冠巖存藁』라는 이름으로 별도의 책을 만들기도 했다. 같은 상황에서 홍경모가 『서정기』를 지을 때, 송악산을 묘사하게 되자 당연히 이정귀의 『유송악기』를 염두에 두었을 것이고, 송악의 핍진한 표현에 있어서 심지어는 이정귀의 글귀를 전재하여 활용하는 데까지 이르렀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a literature study on Lee, jeonggui(李廷龜), who was active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There are a total of 11 sansuyugi(山水遊記, travels) he created. In addition, most of the motives for sansuyugi(山水遊記) writing were either for public service or triggered by public service. This is because his official life was relatively smooth, and his diplomatic ability was excell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11 sansuyugi(山水遊記), he confirm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re is a work that shows a strong attachment to playing flute in a place where visitors are addicted, and it is yugeumgangsangi(遊金剛山記) which left to soothe the sadness of Mt. He mentions himself that the sound of a flute is indispensable from a cruise, and his pleasure creates an indirect experience in the immortal world and emphasizes playing the flute in order to enhance its excitement. The humorous excuse makes the writing more lively and neat. The yugeumgangsangiha(遊金剛山記下) he created is more pronounced than other works. These anecdotes do not get bored with a long 20-day writing. Also, the paragraph composition of this work is not a sequential diary format, but a diary format according to a specific anecdote. Finally, we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yeongjupalgi(永州八記) created by Ryu, jongwon(柳宗元). Among his writings, yusongaggi(遊松嶽記) was particularly influenced by the depiction of the landscape found in the Ryu, jongwon(柳宗元)’s yeongjupalgi(永州八記).

목차

1. 머리말
2. 유람지에서의 젓대 연주 애착, 『遊三角山記』
3. 유람에서의 익살스러움, 『遊金剛山記』
4. 『遊松嶽記』의 문예미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權津鈺(Kwon, Jin-ok). (2021).月沙 李廷龜의 山水遊記 양상과 특징. 동방한문학, (86), 197-226

MLA

權津鈺(Kwon, Jin-ok). "月沙 李廷龜의 山水遊記 양상과 특징." 동방한문학, .86(2021): 197-2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