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아일보』 통계로 본 1930년대 아동과 청년 독자의 책 읽기

이용수 55

영문명
Reading the books of children and young readers in the 1930s based on statistics from the Dong-A Ilbo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오현숙(Oh, Hyunsook)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28집, 385~430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단일한 집단으로 상상되어 온 아동과 청년 독자의 다양한 층위를 복원하고자 하였다. 특히 문자를 습득하고 지식을 배우는 과정 중에 있는 독자의 경우 문해력에 따라 상당히 폭넓은 스펙트럼을 지닌 독서 양상을 보인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상당 부분 아동이나 청년 독자들 간의 ‘차이’를 충분히 드러내지 못했다. 이들은 아동 혹은 청년이라는 큰 범주에 따라 동일한 성격을 지닌 독자로 쉽게 간주되거나 상상되었다. 하지만 필자는 단일한 독자 공동체로 상상되었던 실제 아동과 청년 독자층이 사실은 상당히 다층적인 양상으로 존재했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동아일보』에 실린 통계 자료를 토대로 1930년대 실제 독자들의 다층적인 존재 양상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20대 미만의 미성년 아동 독자를 중심으로 연령별 성별에 따라 나타나는 어떤 동화 읽기를 선호했는지 살펴보았다. 아동 독자의 진취적인 장래희망과 달리 가장 선호하는 동화는 비극적 이야기였다. 식민지와 제국의 관계 속에서 만들어진 ‘학교 밖’ 저학력의 미성년 노동자의 지속적인 생산과 착취구조에 대한 슬픔의 정서는 반영되었으나 아동 독자가 이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현실에 대응할 수 책 읽기에 도달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3장에서는 계층에 따라 실제 아동 독자의 책 읽기 양상이 구체적으로 달라지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각각 여자 중등생, 남자 고보생, 인쇄공을 대상으로 실제 읽은 책 목록을 분석했다. 여자 중등생, 남자 고보생은 한글과 국한문은 물론 일본어나 다른 외국어까지 자유롭게 구사하는 ‘엘리트 독자층’에 속했다. 한편 인쇄 직공은 문자를 알아야만 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식자층’이지만 문해력은 다소 낮은 ‘노동자’라는 독특한 위치에 있었다는 점에서 학생들과 계층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여자 중등생은 연애와 결혼 제도를 다루는 교양소설이나 사회주의 페미니즘 계열 소설의 적극적인 수용자였다. 반면에 남자 고보학생은 계급투쟁과 자본론을 다루는 사회주의 사상서 중심의 책 읽기 양상을 보여주었다. 인쇄공들의 경우 넓은 스펙트럼을 지닌 독서를 했다. 오랜 기간 한자를 배우고 중간 관리자에 위치한 숙련공은 고대소설, 중국소설, 역사전기 등의 책을 향유하는 전통적 독자였다. 반면에 열악한 노동환경에 처해있었던 저학력의 견습공의 경우 직공조합의 독서강화, 토론회와 같은 구술 중심의 문화적 기획을 통해 주체적으로 사회주의 지식을 넓혀나갔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1930년에 사회주의 책 읽기 과정은 상급학교 학생과 노동자들이 주체적으로 식민지 조선의 제도, 담론, 사회적 구조들을 성찰하고 이에 의문을 던지는 유효한 틀이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본 논문은 1930년대 다양한 연령, 성향, 배경을 지닌 서로 다른 아동 독자층이 동시에 공존하는 양상을 복원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aims to restore the various layers of children and young readers who have been imagined as a single group.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eaders who are in the process of acquiring characters and learning knowledge, they show a reading pattern with a fairly broad spectrum according to their literacy skills. However, many of the existing studies did not sufficiently reveal the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and young readers. They were easily regarded or imagined as readers of the same character according to the larger category of children or young people. However, I tried to suggest that the real children and young readers who were imagined as a single readership actually existed in quite a multi-layered existence. Specifically,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published in the Dong-A Ilbo, the multi-layered existence of real readers in the 1930s was examined. In Chapter 2, we looked at which children’s fiction that appeared according to age and gender were preferred by minor readers under the age of 20. Unlike the progressive hopes of children’s readers, the most preferred fairy tale was a tragic story. Although the emotion of sadness over the continuous production and exploitation structure of under-educated underage workers ‘out of school’ cre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ny and the empire was reflected, it was realistically difficult for children to understand this comprehensively and to read a book that could respond to reality. In Chapter 3, we looked at how the actual reading patterns of children and young readers differed according to the class. The list of books actually read was analyzed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printers, respectively.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male high school students belonged to the ‘elite readers’ who freely spoke Korean and Korean, as well as Japanese and other foreign languag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hierarchical difference from the students in that the printmaker was in a unique position as a ‘labor’ with a lower literacy level, although he was a ‘literate’ in that he could work only if he knew how to write. Middle school girls were active recipients of socialist and feminist novels and cultural novels dealing with dating and marriage. On the other hand, male Gobo(high school) students showed a reading pattern centered on socialist ideological books dealing with class struggle and capitalism. The printers had a broad spectrum of reading. A skilled worker who has learned Chinese characters for a long time and is a middle manager was a traditional reader who enjoyed books such as ancient novels, Chinese novels, and historical biographi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ow-educated apprentices, who were in poor working conditions, they actively expanded their socialist knowledge through oral-centered cultural planning such as the craftsmen’s union’s strengthening of reading and discussion forums. However, in common, the socialist book reading course in 1930 was a valid framework in which upper-class students and workers independently reflected on and questioned the institutions, discourses, and social structures of colonial Joseon.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thesis was able to restore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children and young readers of various ages, inclinations, and backgrounds in the 1930s.

목차

1. 균질하게 상상된 독자를 넘어서
2. 연령과 젠더에 따른 동화책 읽기
3. 엘리트와 인쇄공의 책 읽기
4. 실제 아동과 청년 독자의 복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현숙(Oh, Hyunsook). (2021).『동아일보』 통계로 본 1930년대 아동과 청년 독자의 책 읽기. 구보학보, 28 , 385-430

MLA

오현숙(Oh, Hyunsook). "『동아일보』 통계로 본 1930년대 아동과 청년 독자의 책 읽기." 구보학보, 28.(2021): 385-4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