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문화 변동과 외래 요소의 수용 방식

이용수 378

영문명
Culture change and adoption pattern of external factor at Central-western region of Korea in Neolithic period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임상택(Lim, Sangtaek)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41호, 25~5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신석기시대 사회 변동 요인들 가운데 외적 요인, 특히 외부 집단 문화의 영향과 수용방 식을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서북한 지역 및 중국 요동반도 일대의 자료를 중서부지역 자료와 비교 검토하여 중서부지역 내 외부 문화 요소를 추출하고, 이것이 어떠한 맥락과 과정으로 중서부 지역 문화 변동에 영향을 주었는지 검토하였다. 중서부지역은 다시 서부와 중부로 대별하여 동일 양식권 내 정보 및 물질문화의 교류가 외부 문화 요소 수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도 살폈다. 그 결과, 동종 양식권(궁산양식) 내 집단 간 교류는 2기 단계에 가장 밀접하고 3기에는 다소 약화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종 양식권 간 집단 간 교류 역시 궁산 2기 단계 병행기에 가장 활발하고 그 이후로는 약화되는 양상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판단은 외부 유입으로 판단되는 물 질문화 요소가 해당 사회에서 안정적인 기종으로 자리 잡고 생업이나 사회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에 따른 것이다. 중서부 사례의 일반성과 특수성을 추출하기 위하여 주변 지역 사례를 검 토하였다. 그 결과 특정 사회의 외부 문화 요소 수용에 따른 변화는 ① 도구조성을 포함한 생업의 변화 ② 토기복합체의 변화, ③ 양자 복합으로 대별 가능하였다. 수용 방식은 Ⓐ 집단의 이주 Ⓑ 정보 유통을 통한 선택적 수용으로 대별 가능하였다. 지역과 시기에 따라 ① 만 나타나거나 ② 만 나타나기도 하고 양자가 결합된 ③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양자가 결합된 문화변동은 주로 Ⓐ 방식을 통한 경우이며 ①의 경우는 Ⓑ 방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② 의 경우는 Ⓐ.Ⓑ 방식 모두 가능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모식화 내용 중, 서북지역과 관련된 중서부지역 문화변동은 궁산 2기는 ① 도구조성을 포함한 생업의 변화 + Ⓑ 정보 유통이, 궁산 3기 이후는 ② 토기복합체의 변화(절충토기) + Ⓑ 정보 유통이 주요 내용과 방식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xternal factors of Neolithic social changes, especially the influence and acceptance between groups. This paper compares the data of northwest Korea and Liaodong peninsula of China with the data of central-western reg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circulation and material culture change in the same stylistic group and the acceptance pattern of external factors i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ra-region interactions within the same stylistic group was peaked at the 2nd phase of Gungshan style, and the 3th phase was weakened. The inter-region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stylistic groups was also the most active in the second phase, which was later considered to be weakened. In order to extract the generality and particularity of the case, the cases in the surrounding areas are examined. As a result, the material culture changes of certain societies with acceptance of external cultural factors are divided into as follows: ① the change of subsistence, ② the change of ceramic assemblage, ③ the combination of the two. The processes of acceptance can be divided into Ⓐ migration and Ⓑ the selective acceptance of information. According to different regions and periods, there were only ① or ②, and there also be a combination of them(③). The case ③ is mainly carried out through the Ⓐ process, and the case ① is through the Ⓑ. Case ② is possible through both Ⓐ and Ⓑ. Among these models, the cultural changes in the central –western region confirmed that the main contents and process of Gungshan phase 2 are ① + Ⓑ ; ② + Ⓑ after Gongshan phase 3.

목차

Ⅰ. 머리말
Ⅱ. 물질문화 변이와 집단 간 접촉, 그리고 상호작용권
Ⅲ.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문화 변동의 개요
Ⅳ. 同種, 異種 양식권 간 접촉과 중서부 문화 변동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상택(Lim, Sangtaek). (2021).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문화 변동과 외래 요소의 수용 방식. 한국신석기연구, 41 , 25-52

MLA

임상택(Lim, Sangtaek).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문화 변동과 외래 요소의 수용 방식." 한국신석기연구, 41.(2021): 25-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