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스크리트 nominal style의 분석을 통한 『寶性論』 제1장 제27송의 해석과 번역

이용수 258

영문명
Sanskrit Nominal Style and a Translation of the 27th Verse in Chapter I of the Ratnagotravibhāga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우제선(Woo, Jeson)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66호, 241~26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寶性論』 제1장 제27송은 “모든 중생은 如來藏”이라는 교설과 그 근거를 제시하고 있어 여래장사상 연구에 매우 중요한 게송이다. 현대 불교학계에서는 이 분야의 대표적인 학자인 다카사키 지키도(高崎直道)가 1966년에 제27송을 英譯한 이래, 다수의 학자가 그들의 저서나 논문에서 이 게송을 다루어 오고 있다. 그러나 다카사키의 영역을 포함한 기존번역의 경우, 그 내용이 모호하여 『보성론』의 저자가 이 게송에서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알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 이유는 제27송에 나타나는 여래장, 법신, 진여, 종성과 같은 난해한 개념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 게송의 표현방식인 산스크리트 nominal style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제27송의 nominal style을 일반문체로 바꾸어 말의 표현 때문에 생기는 해석상의 어려움을 해소한 후, 이 게송의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nominal style 형태를 취하고 있는 몇 가지 산스크리트 문장을 실례로 들고, 이 문장들의 명사식 표현방식을 어떻게 ‘주어+술어’ 관계의 문장형태로 바꾸어 쓸 수 있는지 알아본다. 둘째, 산스크리트 원전에 티벳역 및 기존의 주요 번역들을 대조 분석하여, “모든 중생은 여래장”이라는 전체 맥락에서 제27송의 각 句가 어떤 함의를 가지고 있는가를 검토한다. 이 논문의 최종목표는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제27송 자체만으로도 그 의미가 소통될 수 있는 새로운 번역을 제시하는 것이다: “중생은 부처의 지혜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心이 본래/본성상 청정하다는 점에서 중생은 부처와 다르지 않기 때문에, 부처는 중생의 佛種姓=佛性의 果라고 가설되기 때문에, 모든 중생은 여래장이다.”

영문 초록

perspective that every living being is a tathāgatagarbha and its threefold reason. Ever since Jikido Takasaki made an English translation of the verse in 1966, his translation has been accepted as an exemplary one so far without any critical reviews or revisions except the fourth pada of the verse, even though there are noticeable errors, especially in terms of its vague phrasing. The problematic translation was caused due to either the abstruse theory of tathāgatagarbha or Sanskrit nominal style with which each pada of the 27th verse is expressed. For this reason, it is of fundamental importance to clarify the ambiguity of expressions in the verse before investigating its theoretical meaning. This paper conveys the two discussions as follows: Firstly, it collects and analyzes a couple of passages written in Sanskrit nominal style, and introduces how to change them into a general style. Secondly, after resolving the problems that nominal style produces in the 27th verse, it then tries to correct the errors found within its extant translations, and provides a new translation: “Since the Buddha’s wisdom is inherent in all sentient beings; since sentient beings are not different from the Buddha in the sense that their mind is by nature immaculate; and since the Buddha is provisionally expressed to be the effect of the essence of the Buddha; all sentient beings are tathāgatagarbhas.”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산스크리트 nominal『style−‘속격+명사의 탈격’
III. 제27송의 분석과 직역
IV. sarvasattvās『tathāgatagarbhā의 분석
V. 제27송의 의역
VI.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제선(Woo, Jeson). (2021).산스크리트 nominal style의 분석을 통한 『寶性論』 제1장 제27송의 해석과 번역. 불교학연구, 66 (1), 241-265

MLA

우제선(Woo, Jeson). "산스크리트 nominal style의 분석을 통한 『寶性論』 제1장 제27송의 해석과 번역." 불교학연구, 66.1(2021): 241-2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