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팝 아트 이미지의 푼크툼 도출을 통한 리얼리티 해석

이용수 73

영문명
An Interpretation of Reality through Punctum Creation in Pop Art Images -A Study on Andy Warhol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김현정(Kim, Hyun Jeong)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3호, 164~194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작가주의적 추상과 함께 리얼리티와의 괴리를 찬양하던 이전의 사조들보다 훨씬 더 가벼운 팝 아트 이미지는 몇 해 전 인터넷 블로그와 카페를 중심으로 무수히 읽히기 시작했다. 굳이 읽힌다는 표현을 감행하는 이유는 이미지를 도상적 기호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에 수용자의 해석을 덧붙여 새로이 해석하는 현상을 지칭하고 싶기 때문이다. 팝 아트의 오브제로 활용된 대중매체는 더 이상 낯섦의 이름을 달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들은 팝 아트를 소비하고 수용하는 매체로 전이되고 활용되어 ’탄생!의 시점(時點)에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팝 아트는 전도되고 있다. 실로 1950년 영국에서 탄생한 팝 아트는 2000년 서울의 가상 공간과 실제의 공간을 활보하고 있다. 때문에 팝 아트 이미지를 두고 예술이냐 비예술이냐를 논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도 없을 뿐만 아니라 해묵은 논쟁일 뿐이다. 이런 현상을 두고 흑자는 팝 아티스트 개인의 페르소나와 맞물려 해석하기도 한다. 지극히 생산 주체의 주관적 관점이 뚜렷한 것이 예술작품이기는 하지만 본 연구는 생산 주체의 독보적인 페르소나나 예술 기법보다는 수용자 관점을 해석의 도구로 끌어들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다시 현재 팝 아트가 향유되는 현상으로 돌아가 이야기 하자면 가상의 현실인 인터넷 공간이나 MD 상품을 통해 소비되고 있는 이것은 분명 수용자의 주체적 해석에 따라 새 생명을 얻는다. 개인의 공간인 인터넷 블로그나 개인의 취향과 해석으로 1 인의 오브제가 된 상품들은 수용지들만의 철저한 상대성에 기인하여 상이한 가치를 획득하게 되며 이것이 바로 리얼리티, 즉 현실성 있는 현실이기 때문이다. 특히 인터넷 공간을 통해 향유되고 있는 팝 아트이미지들은 생산자의 관점보다 수용자의 해석에 더 큰 무게를 실어 재생산된다. 즉 수용자들이 자신의 지극히 개인적인 해석을 통해 기호화시킨 팝 아트이미지들은 또 다른 신화적 시니피앙이 된다는 것이다. 때문에 본 연구는 이것을 도식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앤디 워홀의 연작 작품 3편을 대상으로 삼고, 방법론의 상당부분을 롤랑 바르트의 이론에 의지하였다. 바르트에 따르면 표상적 이미지의 해석을 방해하는 개인적인 해석의 패러다임을 푼 크툼이라 명하며 수용주체의 지위를 한껏 부양시켜 주었다. 이에 기인하여 본 연구는 수용주체의 해석을 푼크툼으로 명하고 이것을 신화적 시니피앙을 생산하는 기호체계에 대업시키는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을 통해서 본 연구의 결론인 리얼리티를 수용주체로 소급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본인의 표지 역할을 했던 클로비스 콤플렉스는 가치의 전복(願覆)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가 팝 아트 이미지를 해석하는 데 있어 표상적 담론, 기법적 측면 등 기존의 가치에 색다른 해석 방법과 도구가 되었으변 하는 바람이 있다.

영문 초록

Pop Art images, which are much lighter than past trends that praised auteuristic abstraction and estrangement of reality, have recently began to be read widely on internet biogs and communities. I use the term read in this paper to denote the phenomenon in which images are reinterpreted by consumers who attaching new understandings to the images instead of treating images as iconographic symbols. Mass media which has functioned as the objet of Pop Art is no longer unfamiliar . Rather, it has turned into and been used as a medium that consumes and communicates Pop Art aesthetics and, as a result, Pop Art is spreading through a different mechanism than it had in the time of its birth . For instance, Pop Art originated in 1950 in England is now widely popularized in Seoul s cyber and real spaces today. The debate whether Pop Art is a form of art or not thus is irrelevant and even outdated. Some scholars interpret this phenomenon linking it to pop artists s private personas. Although a work of art inevitably expresses its producer s subjective views, this paper nevertheless attempts to use consumer s view as an interpretive tool instead of producer s persona or aesthetic techniques. Going back to the current trend of Pop Art being widely circulated, Pop Art consumed in cyber space or through MD products acquires new meanings through its consumer s independent personal interpretations. The products that have turned into 1-person objet through individual tastes and interpretations or within the private space of internet blogs, thus acquire a range of meanings due to each consumer s relativity, and these meanings in turn comprise the reality or the real reality. In particular, Pop art images circulated in the web space are reproduced with greater influences from consumer s readings of the images than the images producer s original purpose. In other words, the images symbolified through consumer s interpretation turn into a different mythical signifier. To find a methodology to diagram such phenomenon, this paper studies Andy Warhol s 3-piece series and relies on Roland Barthes s theories for methodology. Roland Barthes calls the personal paradigm which interrupts interpretation of a symbolic image punctum and elevates consumer s status. Following this line of thought, this paper calls consumer s interpretation punctum and applies it to a symbol system which generates mythical signifier. Through this process, this paper reaches the conclusion that traces reality back to consumers as a result. Clovis complex which has served as my road map through this study, signifies an overturn. I hope this study would offer a revolutionary interpretive methodology that breaks away from previous debates on representation, technical aspects, and methodologies in reading Pop Art images.

목차

1. 들어가며
2. 팝 아트 담론의 특성과 표상적 지위
3. 팝 아트 이미지 해석의 단초
4. 나오며 : 클로비스 컴플렉스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정(Kim, Hyun Jeong). (2009).팝 아트 이미지의 푼크툼 도출을 통한 리얼리티 해석. 글로벌문화콘텐츠, (3), 164-194

MLA

김현정(Kim, Hyun Jeong). "팝 아트 이미지의 푼크툼 도출을 통한 리얼리티 해석." 글로벌문화콘텐츠, .3(2009): 164-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