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혼종, 글로컬문화콘텐츠, 그리고 콜라보레이션

이용수 540

영문명
Cultural Hybrid, Glocal Cultural Contents, and the Collaboration: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he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cultural code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김성수(Soung-su Kim)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16호, 43~7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화혼종(cultural hybrid)은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 과거로부터 다양한 혼종이 지속되어 왔으며, 21세기는 이를 가속화, 다양화 하고 있는 시대다. 글로벌 시대를 맞아 문화코드들이 자연스럽게 교류하고 전이되면서 문화혼종의 상황을 보다 용이하게 만들고 있다. 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다양한 혼종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혼종에 대한 이해나 지위가 달라지게 되어 예전과는 달리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제는 무조건적으로 순수나 전통을 강조할 수만은 없게 되었다. 특히 문화콘텐츠의 시각에서 보자면, 순수와 전통 개념조차도 혼종과 연결시켜 생각해야만 그 위치를 보다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다. 다문화와 관련되는 각종 문제 역시 이 맥락과 깊게 연결되고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한편 혼종에 대한 이해와 수용이 각기 다르고 다양하며, 혼종 개념이 절대시 될 필요가 없다는 점 역시 주지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혼종문화와 글로컬문화콘텐츠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문화콘텐츠의 기획을 염두에 두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는 측면을 말하고자 한다. 문화산물의 혼종은 제작사들의 의도성이 농후하므로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띤다. 문화코드간의 콜라보레이션 또한 이 견지에서 조망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문화혼종적인 대중문화산물을 깊게 이해하는 것이 문화콘텐츠산업 이해에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영문 초록

Cultural hybrid is not a new concept. Many kinds of hybrid have always been with us, and the 21st century is accelerating and diversifying it. The global age makes cultural hybrid easier as diverse cultural codes are being exchanged and transferred. And it is happening in all areas of culture. This in turn has broadened our understanding of hybrid, making the concept more positive and reputable. We can no longer emphasize purity or tra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contents, even the concepts of purity and tradition can be better understood only when we regard them in relation to hybrid. Many problems related with multiculture are deeply connected with hybrid. We also need to acknowledge the fact that the concept of hybrid should not be understood in absolute terms as the ways to understand and accommodate hybrid can be different and diverse.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in planning cultural content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ybrid culture and glocal cultural contents. The hybrid of cultural contents is even more complex because each of the participating producers have their own agendas. The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cultural codes also needs to be understood in this respect. The paper will show th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more deeply it is vital to appreciate the hybridity in mass cultural contents products.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문화혼종 개념의 전개와 발전
3. ‘순수’와 ‘혼종’에 내재된 정치ㆍ사회적 환상
4. 혼종의 장점과 단점 사이에서 나온 글로컬 개념
5. 문화혼종 산물로서의 글로컬문화콘텐츠
6. 문화혼종과 문화코드간 콜라보레이션
7.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수(Soung-su Kim). (2014).문화혼종, 글로컬문화콘텐츠, 그리고 콜라보레이션. 글로벌문화콘텐츠, (16), 43-72

MLA

김성수(Soung-su Kim). "문화혼종, 글로컬문화콘텐츠, 그리고 콜라보레이션." 글로벌문화콘텐츠, .16(2014): 43-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