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농의 출신 및 선호에 따른 서울 베이비붐 세대의 주거이주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

이용수 46

영문명
A Study on Differences in the Residential Migration Factors of Baby Boom Generation in Seoul by the Origin of Urban or Rural Area and Preferences
발행기관
한국부동산연구원
저자명
서수복(Seo, Su Bog)
간행물 정보
『부동산연구』제20권 제1호, 205~22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에는 일본이나 미국과 비슷한 베이비붐 세대가 있다. 이들은 특정 시기에서 비정상적으로 비대한 인구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대규모 은퇴를 맞으면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는 주거수준의 하향이동이나 농촌으로의 공간적 이동을 확대시킬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와 농촌 간의 공간적 이동에 대한 주거이주요인을 파악하여 정책적 대응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은퇴를 맞아 주거이동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은퇴 후의 이주유형에 따라 주거이주요인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실증하고 그에 따른 주거정책의 필요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도시출신으로서 도시에 계속 살고자하는 유형에서는 주거이주요인이 기존의 연구와 비슷하게 분석되었다. 그러나 베이비붐 세대는 은퇴 후의 준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은퇴세대가 내놓은 중고주택의 소비방안과 이들의 하향이동으로 인한 중ㆍ소형 주택의 공급을 확대하여 주거불안을 미연에 방지하여야 한다. 둘째, 도시출신으로서 농촌이주를 선호하는 유형이나 농촌출신으로서 농촌이주를 선호하는 유형은 모두 혈연요인이 주거이주의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가족이나 친지 및 고향과 같은 연고에 관심을 갖고 농촌이주의 수요를 예측하여 공간적 이동을 충족할 수 있는 시책이나 어메니티의 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은퇴세대의 주거이동과 관련한 세심한 정책추진을 위해 정부조직을 보완하여야 한다. 베이비붐 세대에서의 주거이동이 지금과는 양상이 매우 다르게 전개될 것이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In Korea, there is a baby boom generation which is similar to U.S or Japan. They have a bulky population system in particular period and social problems are emerging with retirement in a big scale. The retirement of baby boom generation is investigated to reduce their inhabitation level or expand their spatial migration to rural. According to this,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political maneuver understanding residential migration factor for the spatial migr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This research proves that the residential migration factors are different according to migration types after a retirement targeting for baby boom generation who is expected to have active residential migration, and suggests necessities of residential policy and implication. First, the residential migration factors are similarly analyzed with existing research in a case that hopes to live in rural area continually as those who are from rural. However, the baby boom generation is appeared to be lack of preparation after a retirement, so inhabitation insecurity should be prevented in advance through consumption plan of existing housing that the retirement generation presents and expansion supply of middle and small sized housing which is caused by downshift of them. Second, the group who prefers rural migration as an urban origin or as a rural origin is analyzed that kinship is an important factor of the residential migration. Preparation for a policy or amenity should be come out as soon as possible that could be satisfied with the spatial migration paying attention to connection such as family, the relatives and their hometown, and predicting a demand of rural migration. Third, government organization should be supplemented in order to promote a delicate policy which is related with the residential mobility of retirement generation. This is why the residential mobility of baby boom generation will be developed as totally different aspect from now on.

목차

Ⅰ. 서 론
Ⅱ. 주거이주와 베이비붐 세대
Ⅲ. 분석자료 및 요인분석
Ⅳ. 주거이주요인 분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수복(Seo, Su Bog). (2010).도·농의 출신 및 선호에 따른 서울 베이비붐 세대의 주거이주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 부동산연구, 20 (1), 205-222

MLA

서수복(Seo, Su Bog). "도·농의 출신 및 선호에 따른 서울 베이비붐 세대의 주거이주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 부동산연구, 20.1(2010): 205-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