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산업 간 연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 뉴스 기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5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생산관리학회
- 저자명
- 강희재 손지윤
- 간행물 정보
- 『한국생산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2019년 추계학술대회, 28~28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0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존에 산업 간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들은 대부분 투입산출표(Input-Output Table)를 기반으로 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각 산업들의 Eigenvector 중심성을 계산해 중요도와 파급효과를 도출하였다. 투입산출표는 일정기간(보통 1년) 동안의 산업간 거래관계를 일정한 원칙에 따라 행렬형식으로 기록한 통계표로 경제구조 분석, 산업연관효과 측정, 정부의 경제정책 수립 등을 위해 작성한다. 국민소득통계, 국제수지표, 자금순환표, 국민대차대조표와 함께 5대 국민계정(National Accounts)을 구성하는 국가 기간통계로서 중앙 및 지방정부, 대학 및 연구기관 등에서 경제․산업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다양하게 활용 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투입산출표는 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른 상대가격의 급격한 변동이나 수입대체산업의 발전, 기술혁신의 진행, 새로운 산업의 진입이나 신제품 개발 등으로 생산의 기술구조가 크게 달라질 경우에는 산출량 예측 등 경제분석에 상당한 오차가 발생한다. 특히, 산업별로 산출하는 재화 및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에 주된 초점이 맞춰져 있어 기술 혁신과 산업 간 융합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요즘 시대에 재화의 산출, 수요액만으로 서로 다른 산업이 연관된 정도를 측정하기엔 정량적 경제 가치를 평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각 산업 부문의 생산활동은 주생산물 이외에 부차적 생산물도 함께 생산하는 결합생산의 경우가 있기 때문에 통계 단위의 동질성(homogeneity)이나 투입·산출의 비례성(proportionality)이 비현실적일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이용해 산업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해당 산업과 관련된 텍스트에서 키워드를 추출해 타 산업의 키워드와의 동시출현(Co-occurrence)빈도를 weight로 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연결중심성을 도출하였다. 분석 데이터로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경제 뉴스 기사 9,601건과 2015년 투입산출표 실측표와 2016년, 2017년 투입산출표 연장표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산업연관표의 가장 큰 한계였던 속도(기준년표 작성주기 5년)을 극복하고 재화의 경제적 가치만으로 반영하기 어려운 산업의 현실을 빠르게 반영한 연관성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휠체어를 넘어선 하나의 스마트 모빌리티,‘다타’
- IVI(In-Vehicle Infotainment) 시스템을 접목시킨 실버 세대의 스마트 여행 모빌리티
- 초연결 시대의 현명한 동반자, Auputo
- 한국의 마이크로 모빌리티 환경조사와 미래 예측
- BOOHA(Bus OOH Advertising)
- 공급사슬탄력성 연구 동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 제조기업 내 서비스화의 가치창출: 운영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공공서비스 품질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Sub-level Inequality Aversion in Capacity Allocation
-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Supply Chain Risk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Network Approach Perspective
- 글로벌 기업의 운전자본관리가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기차 플랫폼의 성과 비교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산업 간 연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 뉴스 기사를 중심으로
- Sourcing Decision in the Presence of a Complementary Component
- 교통사고 처리 프로세스 개선안
- 행동적 운영관리(BOM) 실험연구의 MTurk 활용방안
- Cluster Approach to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and Lean Practices
- 자율주행을 이용한 자율주행차 생산공장 공정 개선 방안
- 공유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배달 서비스
- 정부클러스터 정책이 기업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료산업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 수요 변동성이 큰 제품의 매장 간 이동 최소화에 대한 연구
- 초연결 시대, SAP가 바라보는 제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방향
- 모빌리티 플랫폼 개선방안
- Impacts of Top Service Designers: Analysis of Golf Course Quality and Price
- 정부의 지원이 물류 기업의 혁신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선도적인 IoT회사로 진화하기 위한 보쉬그룹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 응급 수송 및 의료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커넥티드카를 중심으로
- 자율주행차 기반 안전 귀가 서비스: Picksome
- 초연결 모빌리티를 활용한 골든타임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MoHo: 당신이 잠든 사이에
- Numerical Precision on Judgmental Forecasting
- Collaborative Product Development in Supply Chain under the Revenue-sharing Contract and the Cost-sharing Contract
- 수질관리 시스템 최적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