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수행 양식에서 찾아본 교육적 특징 : 아함경과 신화엄경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475

영문명
Educational Characteristics Inherent in the mode of practice of Hinayana Buddhism and Mahayana Buddhism: Focusing on Āgama-sutra and Neo Gaṇḍavyūha-sūtra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한지윤(Han, Ji Yoon) 권선향(Kwon, Sun Hyang) 나상원(Na, Sang Won) 신창호(Shin, Chang Ho)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0輯, 49~6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불교의 양대 축으로 인식되는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수행 양식을 통해 교육적 특징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고는 소승불교의 개인적 지혜를 통한 깨달음과 해탈, 그리 고 대승불교의 타자를 배려하는 자비와 그 사회적 관계 차원의 수행을 교육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소승불교로 상징되는 원시불교는 개인적 해탈이 목적이므로, 이를 위한 지혜의 증득이 수행의 중심 내용이 되고, 그 깨달음을 향한 각성이 수행 방법의 핵심으로 자리한다. 이를 교육으로 환언하면, 개인교육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 교육 목적의 측면에서 개인적 해탈은 개인의 온전한 성장이고, 교육내용의 측면에서 지혜의 증득은 지혜의 터득이며,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각성은 자기 학습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수련 양식과 상통한다. 또한 대승불교는 개인의 해탈을 넘어 사회적 해탈을 목적으로 하므로, 사회적 관계를 통해 속박에서 벗어나기 위한 일을 주요 지향점으로 하고, 그 과정에서 대자자비의 체득을 핵심 내용으로 하며, 그것을 원만하게 수행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게송을 통해 전달한다. 이를 교육 으로 환언하면, 공동체교육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 교육 목적의 측면에서 사회적 해탈은 개인을 포함하는 공동체의 완전한 발전을 지향하고, 교육내용의 측면에서 자비의 체득은 상호 주고받는 대자대비의 실천을 통해 사회적 관계 형성이라는 자성의 터득이며,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게송은 모든 사람이 쉽게 알고 함께 할 수 있는 수행 덕목의 대중화를 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ed light on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that are inherent in the modes of practice of what are thought to be the two pillars of Buddhism, namely Hinayana Buddhism and Mahayana Buddhism. Educational aspects of the reaching the state of enlightenment and nirvana through personal wisdom, as emphasized in Hinayana Buddhism, and the practicing of compassion toward others in one s social relationships, as emphasized in Mahayana Buddhism, are explicated. The main purpose of the practice in early Buddhism as represented by Hinayana Buddhism is to acquire wisdom through awakening to the state of enlightenment, for the aim of the early Buddhism is to reach the state of nirvana. Such a process is virtually the same as the process of individual education. The reaching the state of nirvana as the aim of the practice is equal to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as the aim of individual education; the acquiring the wisdom is equal to grasping wisdom as the educational content; the awakening is equal to self-learning or -training that leads to enlightenment as the educational method. The main purpose of the practice in Mahayana Buddhism is to try to become free of restraints through social relationships by acquiring the great mercy and great pity through gatha, for the aim is to go beyond personal nirvana and to reach social nirvana. Such a process is virtually the same as the process of community education; the reaching social nirvana is equal to the full development of community which includes individual as the educational aim; The acquiring compassion is equal to grasping the self-nature which is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practicing the great mercy and great pity, an interactional process, as the educational content; the gatha is equal to popularization of virtues that everyone can know easily and perform together.

목차

Ⅰ. 서 언
Ⅱ. 소승[원시]불교의 수행과 개인교육
Ⅲ. 대승불교의 공동체 교육
Ⅳ. 결 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지윤(Han, Ji Yoon),권선향(Kwon, Sun Hyang),나상원(Na, Sang Won),신창호(Shin, Chang Ho). (2019).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수행 양식에서 찾아본 교육적 특징 : 아함경과 신화엄경론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70 , 49-69

MLA

한지윤(Han, Ji Yoon),권선향(Kwon, Sun Hyang),나상원(Na, Sang Won),신창호(Shin, Chang Ho).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수행 양식에서 찾아본 교육적 특징 : 아함경과 신화엄경론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70.(2019): 49-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