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아랍의 교역관계사 연구:
이용수 439
- 영문명
- block chain, gharar, Islam, ribā, Sharīah, virtual currency Korea and Arab in the History:
- 발행기관
- 한국중동학회
- 저자명
- 김중관(KIM Joong Kwan)
- 간행물 정보
- 『한국중동학회논총』제39권 제1호, 81~10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대 교역의 연계망을 조명하고, 새로운 사료에 따른 재해석은 국제통상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중국과 인도와 무역을 매개하였던 중앙아시아의 교통로인 ‘Silk Road(비단길)’는 이란을 거쳐 시리아로 이어져 지중해를 관통하였다. 실크로드는 육로와 해로로 나누어지는데, 육로는 上古時代에는 초원로와 오아시스로에 의해 동서교류가 이루어졌고, 漢代에 서역로 개척 이후로 교역이 활성화 되었다. 해로는 4세기 전 이미 아시아 동남부 해안에 대규모 거점도시를 연계하여 한반도의 가야와 정기적인 통상로가 구축되었다. 7세기 초의 사산조페르시아, 8세기 이후에는 바그다드의 압바스(al-‘Abbāsīyūn, نوّيساّبعل ) 제국과 교역이 본격화되어서, 아랍 상인들은 9세기 중반부터 해상로를 통해 신라에 내왕했다. 고려 초기에는 DaShi(大食 혹은 多氏, تاجيک : Тоҷик) 의 상인단의 방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고대 서아시아와 한반도간의 사상과 문화 전파 및 상품교역의 흐름을 추적하는 한편, 비단길의 개념을 초원로와 해양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 오아시스로를 중심으로 동서양의 통상관계에 대하여 고찰하고, 해상로를 통한 교역의 특성과 내용을 확인하였다. 이로서 동서교역의 내용과 실크로드의 역할을 평가하고, 고대 한국과의 아랍의 교역 관계의 의미를 재해석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rade Network between East Asia and Arab Region
Ⅲ. Korea as a Trade Partner and Commercial Items
IV. Concluding Remark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