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암일기』를 통해 본 <일민가>의 창작 배경과 주제 의식

이용수 217

영문명
A Study on the Background and Themes of : Focused upon 『Ji-am Diary』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박영민(Park, Yeong-mi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40권, 5~3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윤이후의 <일민가>는 작가의 친필 일기인 ≷지암일기≸에 수록된 강호가사이다. 이 작품은 작가가 윤선도의 손자이자 윤두서의 부친인 것 치고는 학계의 관심을 많이 받지 못한 편이고 그의 일기 또한 <일민가>의 창작 배경과 의도를 추정케 하는 단서가 기록되어 있음에도 별다른 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이에 본고에 서는 ≷지암일기≸에 비추어 <일민가>의 창작 배경과 창작 의도를 검토한 다음 <일민가>의 주제 의식을 분석하고 그 시가사적 의의를 논의했다. 남인의 일원으로 정치적 부침을 겪은 윤이후는 망세의 공간이자 창작·수창의 공간인 죽도에서 술회와 우흥의 노래 <일민가>를 창작했다. “述玉泉田家之樂”이 라고 한 전반부에서는 자신의 지나온 삶을 술회하여 죽도에 초당을 짓고 그곳에 몰입하게 된 계기를 제시한다. “說竹島江湖之勝”이라고 한 후반부에서는 가어옹의 모습으로 죽도의 자연을 완상하며 세사를 잊으려는 일민 의식을 드러냈다. 결국 이 작품은 당대의 혼탁한 정치 현실로부터 벗어나려 한 어떤 사대부의 갈등과 고뇌가 반영된 ‘일민의 노래’라고 할 수 있다. 혼탁한 현실을 떠나 죽도의 자연에 묻혀 살면서도 자신과 사회에 대한 고민을 중단할 수 없었던 사대부 의식이 드러나며, 그러한 삶을 선택하게 된 계기를 술회하는 개인적 술회의 성격이 나타난다. 전대의 사대부 의식을 지속하는 한편 자전적 성격을 강화하여 18세기 이후 활발히 창작된 초당계 가사의 형식적 단초를 마련한 작품이라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Yoon I-hu s ‘Ilminga(逸民歌)’ is Ganghogasa(江湖歌辭), which is included in ‘Ji-am Diary(支庵日記)’, the author s handwriting diary. This work has neither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the academia for being a son of Yun Seon-do and a father of Yun Du-seo; nor been a subject for debate, even though in his diary, there were clues to presume the ‘Ilminga’s background and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background and intentions in the ‘lminga’ creation in aspect of ‘Ji-am Diary’; and then analyzed the theme of ‘Ilminga’; and discussed its meaning. A member of Namin(南人), Yoon I-hu, who had underwent severe political ups and downs, created ‘Ilminga’, a song of his memories and poetic spirit in a island, Jukdo(竹島) letting him forget the world, create, recite and sing a poem and a song. In the first part of “述玉泉田家之樂”, he reminisced about why he immersed himself into Jukdo, building up a thatched cottage. In the latter half of “說竹島江湖之勝”, he seems to have tried to be a retired scholar just appreciating the Jukdo s nature as a Gaeoong(假漁翁) and forgetting the worl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is work may be called ‘Ilmin s song’ containing his own conflict and anguish over the society where he had escaped due to the oppressive political reality in those days. While living in the nature of Jukdo, leaving the unclear reality, he revealed the consciousness of former Sadaebu(士大夫) and was not able to stop worrying about himself and the society, and the results show that his work has the self-explanatory characteristics saying why he chose such a life.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it is a work that provided the formal foundation of a kind of “Chodanggasa”, which had been actively created since the 18th century, preserving the former Sadaebu s consciousness and strengthening the self-explanatory characteristics.

목차

1. 서론
2. ≷지암일기≸에 나타난 윤이후의 죽도 생활과 「일민가」의 창작 배경
3. <일민가>에 나타난 자기 술회와 일민 의식
4. 결론을 대신하여-사대부 의식의 지속과 자전적 성격의 강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민(Park, Yeong-min). (2018).『지암일기』를 통해 본 <일민가>의 창작 배경과 주제 의식.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40 , 5-37

MLA

박영민(Park, Yeong-min). "『지암일기』를 통해 본 <일민가>의 창작 배경과 주제 의식."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40.(2018): 5-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