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스트-유고슬라비아 산문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과 문화적 기억의 문제

이용수 102

영문명
Intertextuality and Cultural Memory in Post-Yugoslav Prose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저자명
조준래(Cho, Junrae)
간행물 정보
『외국문학연구』외국문학연구 제69호, 265~28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유고슬라비아의 이념이 단순히 발칸 서부 주민들의 정체성이나 국적의 문제에 머무르지 않고 포스트-유고슬라비아 국민국가 정체에 대한 부정성 abjection의 정치적인 태도로서 새롭게 이해되도록 한 문제와 관련해서, 각 민족 국가의 좁혀진 문화적 경계 내에서 잊혀가고 있었던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기억을 일깨웠던 포스트-유고슬라비아 문학 작가들의 공헌을 간과할 수 없다. 이들은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집단적 애도를 통해 그것을 이미 종결된 과거 역사의 하나로 규정하기를 거부하고, 사회적 실험으로서의 유고슬라비아의 현재적 유효성을 다 시 각인시키고자 했다. 포스트-유고슬라비아 문학의 대표적인 산문작품들은 ‘소설-에세이’의 형식으로 표현되며, 모방, 패러디, 인용 등의 상호텍스트성과 ‘헤테 로토피아’의 공간적 상징을 통해 역사적 기록자로서의 문학의 책무와 문화적 기억의 의미를 주제화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포스트-유고슬라비아 작가들이 유고슬라비아 연방 시절의 문학 유산 또는 나아가 선대의 해외문학 전통을 자기화하고 전유하는 동기는 정치적으로 폐기처분된 ‘유고슬라비즘’의 정신문화적 가치를 복구하고자 하는 의지와 맞닿아있다. 포스트-유고슬라비아 문학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은 구 유고연방의 ‘잃어버린 대의’를 다시 소환하여 오늘날 발칸 서부의 시민사회를 향해 그 의미를 환기시키는 데에 그 궁극적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appropriation of the legacies of the literature of the former Yugoslavia and the works of world literature in the works of post-Yugoslav writers, and to appreciate its meaning in the background of their thoughts about history and literary creation. The three post-Yugoslav writers to be discussed here express their conceptions of history and literature through the methods of literary intertextuality and the spatial symbols of heterotopology. It is surmised that the true reason of the adoption and appropriation of the legacies of the literature of the former Yugoslavia and works of world literature consists in the literary project of rehabilitation and reinstatement of Yugoslavism as a kind of antidote to the present realities of the nation states in the western Balkans. The post-Yugoslav literary writers try to imprint the timeliness of rehabilitating Yugoslavism in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post-Yugoslav political situation.

목차

Ⅰ. 서론
Ⅱ. 포스트-유고슬라비아 산문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과 문화적 기억
Ⅲ. 결론 – 포스트-유고슬라비아 문학의 정의를 위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준래(Cho, Junrae). (2018).포스트-유고슬라비아 산문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과 문화적 기억의 문제. 외국문학연구, (69), 265-286

MLA

조준래(Cho, Junrae). "포스트-유고슬라비아 산문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과 문화적 기억의 문제." 외국문학연구, .69(2018): 265-2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