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주자학의 안팎을 구분하는 기대승의 전후기 성리설 * -이황; 이항․노수신과의 논변을 중심으로-

이용수 74

영문명
Kobong Ki Dae-sung’s Theory of Moral Emotions and Feelings
발행기관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저자명
남지만(Nam, Ji-Man)
간행물 정보
『태동고전연구』제25집,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기대승의 사상변화를 밝히기 위해, 이황을 비롯하여 이항, 노수신, 허엽 등과의 논변을 통하여 고봉 기대승 성리설의 사상적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추적하는 방식으로 연구하였다. 기대승의 초기설은 1566년 이전의 주장으로 모든 감정을 발원(發源)의 측면에서 리발(性發)로 보아 칠정도 천명지성에서 발원하여 나오는 것이라 기발로 한정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이었다. 감정의 근원을 리로 보는 것은 성선론적 가치관에서 리발로 보는 것이다. 그런데 1566년, 기대승은〈사단 칠정후설〉,〈사단칠정총론〉에서 칠정의 경우 발현이 리와 기로 나타난 것을 기발로 표현할 수 있다고 후퇴한다. 이것은 기질지성이 리와 기를 모두 포함하지만 본연지성에 대비하여 기로 표현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한다. 이는 실천의 관점에서 기의 발현을 검속해야하는 요구를 따른 것으로볼 수 있다. 기대승이 보기에 노수신, 허엽과 같은 리기일물론자들은 리와 기의 구분을 경시함으로써 도덕준칙인 리를 기의 현상으로 환원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리기일물론에 대해 비판이 진행되면서, 기대승 자신의 사단칠정론도 리와 기를 구분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로 사단의 리발은 순선함의 측면이 강조되어 칠정과는 구분된다. 기대승의 성리설은 기본적으로 주자학을 벗어나 이기일물설을 주장하는 이설들에 대해 비판하는 관점에서 이황과 입장을 함께함으로써 주자학의 내외를 구분하는 작업, 즉 조선 주자학의 경계선을 긋는 작업이었다고 평가한다. 이런 전제에서 고봉과 이황이 합의한 이발 기발의 구분은 존재론적 구분이 아닌 가치론적 구분으로, 고봉의 호발설은 이기의 발출과정에서 각기 발하는 이황의 방식이 아니고, 이기가 혼륜하게 있으면서 정의 의미와 내용에 따라 이발 기발을 구분하여 수양해야 한다는 호발론이다. 고봉은 이황이 사단칠정을 이기로 구분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받아들여 주자학을 벗어난 학자들에 대해 공동 대응하면서 비판하였다. 그러면서도 고봉은 다른 한편 구체적 현상과 마음의 수양 차원에서 이와 기를 소지(所 指) 상 구분되는 것으로 본다는 점에서 퇴계와 입장을 달리 한다고 할 수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monstrate, in accordance with fundamental intention of Kobong Ki Dae-sung’s philosophy, the doctrine of Theory of Moral Emotions and Feelings(七情). Kobong s Theory of Moral Emotions and Feelings is output of Four Seven debate(四七論爭). In this debate, Kobong was a challenger to Toegye. Researches on Four Seven debate(四七論爭) so far attached too much importance to Toegye Yi Hwang’s theory. The whole and true aspect of the debate is illustrated when the theory of Kobong is equally illuminated. Toegye argues that moral emotions are the only important and meaningful realization of Li(理). He insists that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四端) is directly derived from the human nature(性),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Li, 理). Toegye s theory insists that feeings(七情) are derived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氣) of the body. In his early doctrine, Kobong did not approve Toegye s thesis that feeling is derived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氣) of the body. He insists that whole emotion and feeling is derived from the human nature,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 so every emotion(Chiljung, 七情) is innocent and moral it self at beginning point. He emphasizes the innocent originality of human emotions. He thought that every feeling and emotion is the realization of Li. No one is seperated from the Moral origin, Li. In his view, the Unverse is the exact realization of Li. He emphasized the realization of Li not Ki.Kobong debated with Sojae Ro Su-sin who argued that all emotional expression is the realization of Li. Contrary to this, Kobong s theory is that the origin and beginning point of all emotions is Li. So Kobong didn t approve that all emotional expression is the realization of Li. The good emotional expression is the only the realization of Li. He worried that people could misunderstand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body as moral origin itself, Li. In his view, the emotional circumstances is not the origin of morality but expressional moments that realize the morality. So people should distinguish the good expressional moments and bad expressional moments from the feeling. In his later theory Kobong approve that whole emotion is derived from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body. Only the moral emotion is the secure realizations of the human nature, the substantiality of moral principle. He considered the Emotional circumstances of the body as the unsecure actuality of human nature. So every man should control his emotions to observe the moral rule and only the moral emotional beginnings can be believed to pursuit. So Kobong s later theory resembled Toegye s theory.

목차

1. 고봉 성리설 연구의 문제
2. 1566년 이전의 기대승의 전기사칠설
3. 사칠논쟁 초기와 공백기: 이기일물론자와의 논쟁
4. 1566년 사칠논쟁의 결론: 후기 성리설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지만(Nam, Ji-Man). (2009).조선 주자학의 안팎을 구분하는 기대승의 전후기 성리설 * -이황; 이항․노수신과의 논변을 중심으로-. 태동고전연구, 25 , 1-32

MLA

남지만(Nam, Ji-Man). "조선 주자학의 안팎을 구분하는 기대승의 전후기 성리설 * -이황; 이항․노수신과의 논변을 중심으로-." 태동고전연구, 25.(2009):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