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요죄의 제한적 해석의 논거

이용수 88

영문명
Arguments for the restrictive interpretation of Riot
발행기관
한국형사법학회
저자명
김정환(Kim, Jong-Hwan)
간행물 정보
『형사법연구』형사법연구 제28권 제1호, 119~14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형법 제115조 소요죄의 법률문언을 보면 많은 경우에 빈번하게 적용될 수 있는 규정인데 왜 그 적용여부의 검토에 사회적으로 의미가 부여될 정도로 소요죄의 사용이 제한적이었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폭력행위처벌법이나 집시법의 적용사례에 비하여 소요죄의 적용사례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것은 소요죄를 제한적으로 적용시키려는 해석론에 기인한다. 기존의 해석론은 소요죄의 적용범위를 제한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데, 그 논거는 소요죄의 보호법익이 국가적 법익 혹은 사회적 법익이라는 점이다. 문법적 해석방법으로 보면 넓게 적용되도록 해석될 수도 있는 소요죄를 보호법익을 가지고 목 적론적 해석방법만을 통해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논거로서 충분하지 않기에, 소요죄의 입법에 있어서 어떠한 역사적 배경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고 입법이후 법률체계상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및 소요죄와 관련된 규정들을 살펴보았다. 역사적 측면의 검토과정에서 소요죄는 국가 혹은 사회의 변화를 가져올 만큼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중의 폭행 등에 적용되는 구성요건이라는 것이 확인된다. 소요죄를 적용시킬 수 있을 만한 다중의 폭행 등이 존재한다면 이에 가담한 다 중의 구성원은 비록 직접적으로 폭행 등의 행위를 하지 아니하더라도 소요죄가 적용된다. 다수의 구성원의 폭행 등의 행위에 소요죄를 적용하는 경우에 한 두 명의 지휘자들만이 소요죄의 주체가 아니라 그 구성원 다수가 소요죄의 주체가 된다는 것이 라는 점은 소요죄를 적용함에 있어서 주의되어야 할 것이다. 법률체계적 측면의 검토과정에서 소요죄는 국헌문란 혹은 국토참절의 목적이 없이 개인에 대한 침해를 넘어 한 지방의 평온⋅안전 혹은 법질서를 해할 수 있는 정도의 집단적인 폭행 등이 있는 경우에 적용되는데, 이 때 중요한 것은 ‘한 지방 전체’ 의 평온⋅안전 혹은 법질서의 침해가 확인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예컨대 수백 명이 집합하여 돌을 던지고 각목을 휘두르더라도 ‘한 지방 전체’의 평온⋅안전 혹은 법질서가 침해되는 것이라고 볼 수 없다면 소요죄가 성립된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를 통해 소요죄에 대한 기존의 제한적 해석⋅적용이 옳다는 것을 확인되며, 그 논거가 보호법익뿐만 아니라 역사적 배경과 관련 법률체계에도 있음이 확인된다. 현행 소요죄의 규정은 앞으로도 제한적으로 해석⋅적용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began from the following question: Despite its seemingly universal applicability, why is the provision of riot not frequently applied? The seldom usage of the provision itself derived social meaning, requiring further study. In practice, the usage of riot was limited compared to that of the Punishment of Violences, etc. Act or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This situation arose from the restrictive interpretation of the provision. Existing interpretation developed towards restricting the scope of riot based on grounds that the provision’s purpose is to protect national or social interest. However, restricting the scope of application through purposive approach based on legal interest is insufficient, because the provision’s literary meaning is open for wider applications. Therefore, this research track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riot by looking into the legislative history(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looked into the changes in the legal system after the legislation by examining other rules related to riot(systematic interpretation). In historical aspect, it is confirmed that riot is applied to cases where violence of a crowd can bring massive national or social impact. If such violence exist, not only the few leaders who organized the crowd, but also all participants who joined the crowd are in violation of riot. Thus, the provision should be carefully applied in cases of rallies or protests. In a systematic perspective, the riot provision is applied where a crowd’s violence without the purpose of subversion of national constitution or attacks on national territory, infringes upon the peace, safety and legal order of a province as well as individual interests.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violence must reach the level of infringing the peace, safety and legal order of 'an entire province'. For instance, even if a few hundred people assemble, throw rocks and swing wooden bars, it is not a riot unless the violence reach the level of endangering the peace, safety and legal order of the province as a whole. The existing restrictive interpretation of riot is supported by this study as a correct one. Its legal grounds exist not only in its legal interest but also in historical background and in the legal system. The provision should be interpreted and applied restrictively in the future as well.

목차

Ⅰ. 도입말
Ⅱ. 소요죄의 규정과 기존의 해석⋅적용
Ⅲ. 소요죄의 역사적 발전과정
Ⅳ. 관련규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환(Kim, Jong-Hwan). (2016).소요죄의 제한적 해석의 논거. 형사법연구, 28 (1), 119-145

MLA

김정환(Kim, Jong-Hwan). "소요죄의 제한적 해석의 논거." 형사법연구, 28.1(2016): 119-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