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군 실 사격 훈련간 효율적인 안전지대 데이터 구축 방안 연구
이용수 64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 Method to Producing Data for The ROKA Live Fire Training Range Safety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 저자명
- 이준식(June-Sik Lee) 최봉완(Bong-Wan Choi) 오현승(Hyun-Seung Oh)
- 간행물 정보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제38권 제3호, 64~77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n effective method for produce munitions effectiveness data is to calculate weapon effectiveness indices in the US military’s Joint Munitions Effectiveness Manuals (JMEM) and take advantage of the damage evaluation model (GFSM) and weapon Effectiveness Evaluation Model (Matrix Evaluator). However, a study about the Range Safety that can be applied in the live firing exercises is very insufficient in the case of ROK military. The Range Safety program is an element of the US Army Safety Program,and is the program responsible for developing policies and guidance to ensure the safe operation of live-fire ranges. The methodology of Weapon Danger Zone (WDZ) program is based on a combination of weapon modeling/simulation data and actual impact data. Also, each WDZ incorporates a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which provides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perform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to evaluate the relative risk of an identified profile. A study of method to establish for K-Range Safety data is to develop manuals (pamphlet) will be a standard to ensure the effective and safe fire training at the ROK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example, WDZs are generated with the WDZ tool as part of the RMTK(Range Managers Tool Kit) package. The WDZ tool is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based application that is available to operational planners and range safety manager of Army and Marine Corps in both desktop and web-based versions. K-Range Safety Program based on US data is reflected in the Korean terrain by operating environments and training doctrine etc, and the range safety data are made. Thus, verification process on modified variables data is required. K-Range Safety rather than being produced by a single program, is an package safety activities and measures through weapon danger zone tool, SRP (The Sustainable Range Program), manuals, doctrine, terrain, climate, military defence M&S, weapon system development/operational test evaluation and analysis to continuously improving range safety zone. Distribution of this K-range safety pamphlet is available
to Army users in electronic media only and is intended for the standing army and army reserve. Also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to authorized users for marine corps commands are indicated in the table of allowances for publication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efficient K-Range Safety Manual producing to calculate the danger zon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OK military’s live fire training by introducing of US Army weapons danger zone program and Range Safety Manual
목차
1. 서 론
2. 연구배경, 범위 및 수행방법
3. 155mm 포병탄 안전지대 분석
4. 전차탄 안전지대 분석
5. 국․내외 JMEM 및 국방 M&S 활용
6. 안전지대에 대한 공학적 접근
7. 미 안전지대 데이터 적용 가능성 검증
8. 한국형 사격 안전지대 데이터 구축 방안
9.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산투자수익률 계산방법에 대한 연구
- 한국군 실 사격 훈련간 효율적인 안전지대 데이터 구축 방안 연구
- 디스패칭 룰 기반의 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APS) 시스템 활용 사례연구
- 뉴스벤더 모델을 이용한 최적 대출금 한도 관리에 관한 연구
- PSD법을 이용한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병렬 프로그램 로그 군집화 기반 작업 실행 시간 예측모형 연구
- 사출성형 공정에서의 통합정비방법에 관한 연구
- 시뮬레이션을 통한 2단계 재고시스템에서의 재고정책 비교연구
- 신제품의 확산 결정요인 : 연립방정식 접근법
- 좌석시트 공조조건에 따른 착석자의 심리 및 생리적 반응
- 단일 공급자 다수 구매자 공급체인에서 통합 생산 및 재고 모형
- 작업 종속 및 위치기반 선형학습효과를 갖는 2-에이전트 단일기계 스케줄링
- 롤 형상 필름 생산에서 두께평활도 개선을 위한 고정굴곡부 발현 모형 및 개선 모델
- DEA를 활용한 R&D 프로젝트의 효율성 비교 :산업기술사업을 중심으로
- K-Means Clustering의 차량경로문제 적용연구
- 판매 손실이 발생하는 정기발주 재고시스템에서 평균보유재고를 계산하는 근사적 방법에 대한 연구
- 국방경영 효율화를 위한 분석형 통계시스템 구축
- 자산기반 무기할당 문제의 선형 근사 모형
-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나노기술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분석
- 수요 예측 평가를 위한 가중절대누적오차지표의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