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인터넷 장편 ‘차원이동소설’에 대한 연구
이용수 144
- 영문명
- A Study on Chinese Network ‘Time-travel’ Stories - Focusing on ‘Female Ancient Time-travel’ Novels and ‘Male Reincarnation’ Novels
- 발행기관
- 한국중국소설학회
- 저자명
- 崔宰溶
- 간행물 정보
- 『중국소설논총』제42집, 273~30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re are many sub-genres in the field of time-traveling network literature of contemporary China. This paper will take two most prominent ones ― ‘Female Ancient Time-travel’ novels and ‘Male Reincarnation’ novels ― and compare them to reveal what ‘the differences and the repetitions’ mean in these sub-genres. Bubujingxin can be regarded as a typical ‘Female Ancient Time-travel’ novels, in which a female character time-travels to ancient China and tries to accomplish her goals mainly through the romantic relationship with a powerful male(mostly emperors or prices). Whereas Guanshen is a typical ‘Male Reincarnation’ novels, which tells story about a male character who is ‘reincarnated’ into a recent past of his own life, and tries to make it different ― politically and romantically. These two genres are very similar because they share the basic elements of Time-travel Stories, but in some aspects are in complete contrast to each other ― like in character’s sex, the way the main character deals with the main conflict of the story, etc.. Through what Hiroki calls the ‘environmental analysis’, I tried to find out what these differences mean, and furthermore, what the Time-travel Stories in general mean. The basic structure of Time-travel Stories shows the possibility that a person can, at any time, and without much context, jump into another time or dimension. And this structure is symmetrical to the readers of these stories who face the gigantic database of genre-novels. In short, Time-travel Stories is an expression of the new concept of reality that our lives can be easily re-set and be simulated in countless contexts. And it is through these simulations that the youngsters of China can dream beyond their suffocating reality.
목차
1. 서론
2. 본론 1 : 연구 대상 설정 및 작품 내적 분석
3. 본론 2 : 환경분석을 통한 차원이동소설의 이해
4.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인터넷 장편 ‘차원이동소설’에 대한 연구
- 《海東異蹟》의 神話, 道敎的 想像力
- 조선시대 중국 실용전문서적의 전래와 수용
- 《淸平山堂話本ㆍ欹枕集》 硏究
- 장르로서의 기환(奇幻), 용어의 개념정립을 위한 시론(試論)
- 評點에서 댓글까지(2)
- 葉適 散文에 나타난 敎育觀 연구
- 中國白話小說史 時代區分 試論
- 영화 〈畵皮〉에 나타난 원전 서사와 변용
- 明末 福建 建陽지역의 公案小說集 출판과 법률문화
- 朝鮮活字本 《三國志通俗演義》에 대한 文獻校勘 연구
- 曹操의 ‘唯才是擧’에 반영된 여성관
- 《珍珠塔》의 서지ㆍ서사와 번역양상
- 敦煌 變文의 우리말 번역에 대한 고찰
- 중국 몽골족의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에 관한 고찰
- 中國小說論叢 第42輯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산 자와 죽은 자의 선물 교환과 믿음체계:인도네시아 남 술라웨시 (South Sulawesi) 섬의 따나 또라자 (Tana Toraja) 장례식의 사례
- 국내외 ESG 사례를 통해 본 중소기업 ESG 경영 활성화 방안
- 디지털 전환시대의 책읽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