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저지-청수곶자왈과 그 주변지역에서의 숯 생산활동

이용수 217

영문명
Charcoal Production Activities in Jeoji-Cheongsu Gotjawal and Surrounding Areas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정광중(Kwang Joong Jeong)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27권 제1호, 83~11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하여 정리할 수 있다. 첫째로, 제주에서 숯 생산 또는 숯 이용에 대한 기록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지리지』와 일제강점기 및 1970년대 이전에 발행된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일부에 지나지 않았으며 특히 숯 생산과정이나 유통 등에 대한 내용은 전무한 상황이었다. 둘째로, 해방 이후에 저지-청수-산양리 주민들은 저지-청수곶자왈과 그 주변지역에서 숯 생산활동을 벌여왔으며, 3개 마을의 숯 생산활동의 강도는 저지-청수-산양리 순으로 확인된다. 셋째로, 해방 이후에 숯을 생산했던 시기는 대략 1949∼1962년 사이로 확인되지만, 주요 기간은 1950년대의 약 10년간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1년 중 숯을 생산하는 중심기간은 농한기인 11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로 약 5개월이었다. 넷째로, 저지-청수-산양리 주민들의 숯 생산 장소는 택지 내(텃밭)와 택지 외로 구분할 수 있는데, 택지 외는 마을에서 거리적으로 가까운 오름(기생화산)과 저지-청수곶자왈 지구 내, 그리고 마을로부터 비교적 거리가 떨어진 오름과 인근 마을의 목장지구로 세분할 수 있다. 다섯째로, 저지-청수-산양리 주민들이 생산하는 숯은 숯가마에서 굽는 방식에 따라 곰숯, 작대기숯 및 말숯으로 구분된다. 여섯째로, 숯가마에서 한번 생산하는 숯의 양은 일반적으로 곰숯 가마보다는 말숯 가마가 크고, 또 오랜 경험을 지닌 사람들이 생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당연히 숯의 양도 많다. 저지-청수-산양리 주민들이 생산한 숯은보통 모슬포와 한림 오일장을 통해서 판매하거나 개인별 행상에 의한 판매도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Jiriji』 published in the Joseon period and documents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before the 1970s, records of charcoal production or use in Jeju were rare, with absolutely no details about the charcoal production process or distribution. Second, Jeoji, Cheongsu and Sanyangri residents were engaged in charcoal production activities in Jeoji-Cheongsu Gotjawal and surrounding areas after liberation from colonial rule in 1945. Among the three villages, the intensity of activity was highest in Jeoji, followed by Cheongsu and Sanyangri. Third, it is confirmed that the period in which charcoal was produced after liberation was between 1949 and 1962, but the major period was for about 10 years in the 1950s. Moreover, the main period of producing charcoal during the year was approximately 5 months from November to March the following year, which is an agricultural off-season. Fourth, the places of charcoal production for Jeoji, Cheongsu and Sanyangri residents can be divided into the inside(vegetable garden) and outside of the housing site, and the latter can be subdivided into the orum(parasitic volcano) near the village and within the Jeji-Cheongsu Gotjawal district, and the orum relatively far from the village and the farm district in the neighboring village. Fifth, charcoal produced by Jeoji, Cheongsu and Sanyangri residents can be classified into gomsoot, jacdaegisoot and malsoot depending on how it is made in the charcoal kiln. Sixth, the amount of charcoal produced once in a kiln is generally greater in the malsoot kiln than the gomsoot kiln, and the quantity is also naturally greater since it is a method used by people with long experience. Charcoal produced by Jeoji, Cheongsu and Sanyangri residents was usually sold through Moseulpo and Hallim Five-day Market, or through individual sales.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제주에 있어서 가정연료로서의 숯
3. 저지-청수곶자왈과 그 주변지역에서의 숯 생산활동의 실태
4.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광중(Kwang Joong Jeong). (2015).저지-청수곶자왈과 그 주변지역에서의 숯 생산활동. 문화역사지리, 27 (1), 83-111

MLA

정광중(Kwang Joong Jeong). "저지-청수곶자왈과 그 주변지역에서의 숯 생산활동." 문화역사지리, 27.1(2015): 83-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