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대전환기 고전문학 장르의 교섭과 융합
이용수 427
- 영문명
- The Connection and Fus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ry Genres at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 focusing on a old-printed classical novel Yaksandongdae -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최현재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2輯, 161~182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aspects of the connection and the fus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ry genres at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was the time when the competi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were fierce. Yet the public's interest in Pansori and Japga was still very high. As a result, the Korean classical novel was published actively in a old-printed type. In addition to that, Japga
had gained great popularity in the modern theater and Japgajip was also published many. Yaksandongdae(<약산동대>) is a Korean classical novel which was published in a old-printed type in this historical background. This work is
a remake of Chunhyangjeon(<춘향전>), but shows the features that are distinct from it.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will be directly related to the Korean classical poems contained in the work. This work has also
included many Korean classical poems like Chunhyangjeon. A closer look, however, you can find very remarkable features. First, a part of Japgajip Singu-sihaeng-japga(신구시행잡가) is included almost exactly the same in this work. Second, the Japgajip is made up of the sounds of the song that Park Chunjae(박춘재), the famous singer at that
time, enjoyed singing. Third, the Japgajip was published about a year later than this work. Through these points, it can be seen that the fact that this work is composed of the Pansori and Japga in a unique way.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a commercial publication strategy. Therefore, it should be evaluated by a
rare new attempt.
목차
1. 서론
2. <약산동대>의 간행 상황과 광고 양상
3. <약산동대>에 나타난 장르의 교섭과 융합
4. 근대전환기 장르의 교섭과 융합, 그 의미
5. 결론 : 몇 가지 남은 문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제강점기 영화와 출판 검열의 연동과 변화 양상
- 매체적 관점에서의 한국근대시 시제(詩題) 연구
- 신문 소재 개화가사의 표기법 연구
- 대화적 교수 접근법에 기초한 학문 목적 한국어 수업 연구
- 근대전환기 고전문학 장르의 교섭과 융합
- 웅초 김규택의 장편 만문만화에 대한 연구
- 김유정 소설의 문학치료학 적용 가능성 고찰
- 남언기의 고반원과 고반원가
- 18세기 호남실학 문인의 시 세계와 지향 의식
- 글쓰기 상담을 통한 인지․정서․행동 변화
- 허균의 이상향 개념과 琉球國에 대한 인식
- 소문의 벽 에 나타난 소문의 담론 형식 연구
- 문학지리학으로 본 유치환 시의 장소성과 의미
- 현대국어 초기 구어체의 실현과 문학적 수용
- 1930년대 제주도․한라산 기행문 고찰
- 귀래정 신말주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국어의 줄임말 현상에 따른 언어변이 양상과 문제점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교수법 기반 한국사 교육 방안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