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안정복이 『동사강목』에서 강목체 필법으로 쓴 인물 평가와 그 위계 질서

이용수 586

영문명
A Study on An Jeongbok’s Praising and Blaming a Historical People Written Gangmok Style in “Dongsa Gangmok” and It's Hierarchy of Significant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김남일(KIM, Nam-Il)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28권, 107~165쪽, 전체 5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9,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안정복이 『동사강목』의 저술목적 가운데 밝힌 明統系ㆍ嚴簒逆ㆍ褒忠節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기존의 강목체 역사서 『동국통감』ㆍ『여사제강』ㆍ 『동사회강』과 비교ㆍ분석하여 밝혔다. 비교의 대상은 본 주제와 관련이 있는 서문ㆍ범례 그리고 인물평가와 관련이 있는 필법의 사례에 한정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서술하는 주요 내용은 기존 사서에서 계승한 것과 다른 점 그리고 중점을 두고 서술한 내용 등을 밝히면서, 강목 서법에는 위계질서의 의미체계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논증하였다. 『동국통감』은 『고려사』ㆍ『고려사절요』ㆍ『삼국사절요』보다 인물 포폄에 있어서 강목체 필법에 의거하여 改書가 많이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읽기 쉬운 朱子의 강목체 史書의 不在와 『동국통감』의 강목법이 미진함으로 인해 유계의 『여사제강』이 편찬되었으며, 이를 삼국시대까지 확장하여 서술한 것이 임상덕의 『동사회강』이다. 『동사회강』은 중국과 東史의 역사 사례를 비교ㆍ분석하여 일정한 수준에 이른 정통체계와 서열체계를 체계화하여 범례에 밝혔다. 이러한 『동사회강』의 동사 체계에 자극을 받고, 성호 이익 및 동료들과 필례를 검토하여, 『동국통감』에서 外紀로 처리한 상고사를 국사체계에 끌어들이고 『동사회강』의 서술에서 제외된 고려말까지의 역사를 강목체로 완성한 것이 『동사강목』이다. 그러므로 강목체 史書간에는 계기적 발전과정이 있었다. 안정복의 明統系 즉 正統체계의 가장 큰 특징은 기자-마한 정통 체계, 위만조선과 고려 태조 왕건의 僭國例(통일이전 18년간), 禑王ㆍ昌王을 前廢王ㆍ後廢王으로 大書 紀年하여 정통체계로 서술한 점 그리고 駕洛國을 小國例로 紀年체계에 포함한 것이다. 嚴簒逆의 필례로는 신하가 임금을 죽였을 때나 부모나 지아비를 죽였을 때 쓰는 ‘弑’, 권력을 맘대로 휘두른 權臣이나 盜賊의 죽음은 ‘성명+死’, 反逆한 사람을 公的으로 죽였을 경우는 伏誅, 私的으로 죽였을 경우는 誅 등이 있는데, 안정복은 그 이전 史書에 비해 사실에 입각하여 엄격하게 서술하였다. 그리고 嬖幸이나 국가에 해를 끼진 인물은 ‘관직(또는 작호)+성명+死’로 써서 높은 관직에 있으면서 못된 짓을 했다고 貶하였는데, 이에는 임금을 비판하는 의미도 있다. 죄가 없는데 죽였을 경우는 殺로 썼다. 褒忠節의 필례로는 ‘死之’와 ‘起兵’이 있는데, 국가를 위해 목숨을 걸고 의리를 지키다 죽은 사람은 死之라고 쓰며, 忠義를 명분으로 군사를 일으켰을 경우에는 起兵이라 써서 성공여부와 관계없이 그 의리를 기렸다. 그 외에 안정복은 재상이나 현인의 卒記에는 1.관직+爵號+성명+卒, 2.관직(또는 작호)+성명+卒, 3.성명+卒으로 등급을 나누어 칭찬하거나 다소 비판하는 뜻을 보였다. 정통 왕조의 왕과 왕비의 죽음은 薨이며, 왕위를 잃었을 경우는 卒로 썼다. 그 외 국가의 왕은 卒로 쓴다. 정통 왕조의 왕위에 오르는 경우는 卽位, 無統의 왕위에 오르는 경우는 立으로 쓰는 등 명분론에 따라 서열을 정하여 書法을 정한 것이다. 강목체에서 인물 평가와 관련이 있는 필법은 그 인물의 지위 및 선악의 평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examines An Jeongbok’s writing style of “Dongsa Gangmok(東史綱目)”. An Jeongbok’s main purpose of writing history is ‘Obviously brightening the Legitimate Succession of Dynasty(明統系)’, ‘Suppressing traitors(嚴簒逆)’ and ‘Commending highly Loyalty(褒忠節)’. For understanding his writing patterns, I undertake the study the key differences of gangmok style writing method in “Dongsa Gangmok” between the other history of gangmok style such as “Dongkuk Tonggam(東國通鑑)” “Yeosa Jegang(麗史提綱)” and “Dongsa Hoegang(東史會綱)”. Writing patterns of An Jeongbok’s praising and blaming a historical people written Gangmok Style are as follows: ①praised cases – the first rank is ‘an official position+peerage+a name+jol[卒]', the second rank is ‘an official position[or peerage]+a name+jol[卒]', the third rank is ‘a name+jol[卒]', ②blamed case - a historical people who was an influential vassal was written ‘a name+death[死]’, this writing style is related to Suppressing traitors(嚴簒逆) case. A detrimental people to a dynasty was written ‘an official position[or peerage]+a name+death[死]', it is also blaming his king, ③a case of officially killing Traitors was written ‘Bokju[伏誅]’, privately killing traitors case ‘Ju[誅]’, ④a case of killing a people who had not a crime was written ‘kill[殺]' Specially Commending highly Loyalty(褒忠節) case was written ‘Saji[死之]’ which means a people died for one's duty to one's king and ‘Gibyung[起兵]’ which one's duty to one's king raised the military. Obviously brightening the Legitimate Succession of Dynasty(明統系) was related to legitimate dynasty tradition(正統論), The principal distinguishing marks of An Jeongbok’s legitimate dynasty tradition(正統論) are as follows ①the theory of Gija-Mahan legitimate(箕子-馬韓正統論), ②Wiman Choson and Goryo before a fall of Silla dynasty was defined as Chamguk case(僭國例; a nation of traitor), ③Wuwang(禑王)ㆍChangwang(昌王) were defined a legitimate King by the Kings era was written in a large font(大書 紀年) Jeonpewang(前廢王) and Hupewang(後廢王), ④Garakguk(駕洛國) era had written as a little nation case(小國例). The writing styles of “Dongsa Gangmok” had influenced by “Dongkuk Tonggam”, “Yeosa Jegang” and “Dongsa Hoegang” are as follows: ①the facts of “Dongsa Gangmok” was based on a historical facts of “Dongkuk Tonggam”, ② the Praising and Blaming a Historical People of Koryo period was influenced by “Yeosa Jegang”, ③ the Bumre(凡例, the information of historiographical method) was influenced by “Dongsa Hoegang”.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기존 강목체 史書와 『동사강목』의 계통성
Ⅲ. 정통 계보를 명확히 밝힌다 - 明統系의 筆例
Ⅳ. 찬탈과 반역을 엄히 다스린다 - 嚴簒逆의 筆例
Ⅴ. 충성과 절의를 기린다 - 褒忠節의 筆例
Ⅵ. 강목체 卒記의 筆法 체계
Ⅶ.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일(KIM, Nam-Il). (2013).안정복이 『동사강목』에서 강목체 필법으로 쓴 인물 평가와 그 위계 질서. 한국사학사학보, 28 , 107-165

MLA

김남일(KIM, Nam-Il). "안정복이 『동사강목』에서 강목체 필법으로 쓴 인물 평가와 그 위계 질서." 한국사학사학보, 28.(2013): 107-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