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교육에 대한 경기도지역 중등교사들의 인식 수준과 유형에 관한 연구

이용수 797

영문명
Study on the Awareness Levels and the Types of Junior-High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Gyeonggi Province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저자명
김명숙(Myong-Suk Kim)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제3권 1호, 21~46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4.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역할의 중요성에 근거하여 중등학교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과목에 구분 없이 다문화적 소양과 태도에 따른 인식수준과 다문화교육 목표에 따른 인식유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중등교사들의 인식수준, 인식유형을 진단하여 다문화교육이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목표로 나아가기 위한 개선 방안을 강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요 분석 결과로는 첫째, 다문화적 소양과 태도의 체크리스트를 통한 교사의 인식수준은 중등교사들의 다문화적 소양과 태도에 대한 인식수준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목표에 따른 중등교사들의 실제 인식유형과 지향하는 인식유형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교사들이 추구하고자 하는 미래의 다문화교육의 인식유형은 사회개혁 중심형(59.4%)인데 현재 교사들의 인식유형은 인간관계 중심형(40.2%)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교사들의 다문화적 소양과 태도에 대한 인식수준과 다문화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유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적 상황에 대한 사례집의 보급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수기회의 확대와 효능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며 학부모와 지역공동체 를 적극 활용하여 지역공동체 사회 활동 프로잭트에 참여하여 실천력을 강화시켜야 한다.

영문 초록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become the principal agents by providing students with concrete activities and mak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nvironment. Therefore, the positive awareness of teachers, who have direct impact on student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 are existing studies regarding the awareness levels of junior-high school teachers; however, they are limited to specific subjects related to multi-culture education such as Korean Language or Community Lif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know the overall awareness level of junior-high school teachers on multi-cultur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the suggestion of improvement measures by diagnosing the awareness levels and types of general teachers in the junior-high schools; so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ould advance toward the ultimate objectives it should aim for. The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current awareness levels of junior-high school teacher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re too low. The awareness levels of the teachers have big impact on the students because teachers are doing important role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ly required to expand the training opportunity of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to narrow the gap of awareness levels and develop the programs that woul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문제 분석
Ⅲ. 결론
Ⅳ.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숙(Myong-Suk Kim). (2012).다문화교육에 대한 경기도지역 중등교사들의 인식 수준과 유형에 관한 연구. 다문화교육, 3 (1), 21-46

MLA

김명숙(Myong-Suk Kim). "다문화교육에 대한 경기도지역 중등교사들의 인식 수준과 유형에 관한 연구." 다문화교육, 3.1(2012): 2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