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ㆍ중등교사들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운영 방안 연구

이용수 1565

영문명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lan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최항석(Choi, Hang-Seok) 차미정(Cha, Mi-Jeung)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제1권 3호, 133~155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현장교사의 운영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초등ㆍ중등교사들에 대하여 다문화교육 중요성 인식과 다문화적 효능감에 관련된 상황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위한 실제지도와 자녀지도를 위한 교사들의 태도에 관해 알아보았다. 연구문제에서는, 초등ㆍ중등교사들 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조사를 통해 학교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을 알아보고자 초등ㆍ중등 교사의 다문화교육 중요성에 관한 인식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다문화교육의 효율적인 지도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를 파악하였다. 결과에서는 첫째, 초등ㆍ중등교사들의 경우 교사경력 별, 다문화가정 자녀의 지도 유ㆍ무에는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과 다문화적 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경우 교사연수 유ㆍ무에는 영향이 없었지만, 중등교사의 경우는 교사연수 유ㆍ무가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과 다문화적 효능감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지도에 대해서는 담임교사의 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일 전담교사로 적합한 사람을 선정한다변, 다문화가정에 대해 관심과 이해도가 높은 자원봉사자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행ㆍ재정적 지원을 위해서는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알맞은 교재ㆍ교수 학습자료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며,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해서는 학교에 적응하고 친구를 만들 수 있는 방법들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cludes a research of how teachers(elementary and midd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 also states several ways to efficiently prepare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most desired way of education. This paper made a diagnosis of teachers' current recogn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get a thorough view of the current situation. This includes checking the instructors' awareness of the possible clash between children of a multi-culture family and a children from a local family, which cannot be ignored for a successful multi-cultural education process. This paper also analyze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etween instructors experienc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not. Most teachers were not experienced of getting edu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but they showed a thorough recognition and a high potential efficiency.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class is the most important instructor for foreign children. An appropriate teacher in charge for such students appeared to be instructors who deeply understands and cares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amilies. In order for students from other culture to adapt well, the education system must not exclude such students, and should provide not only administrative but also financial support. The education system should prepare appropriate textbooks, teaching materials, and especially the plans to help make harmony between local and foreign students. Foreign students must be guaranteed of easy access of such support, and moreover the system should give the instructors more chance to get educated of multi-cultural teachings. The teachers need education first in order for them to teach better. Also, for Korean society to adjust itself well 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government, the educator, and the citizens must understand multi-culture well and they all must work as a team. This requires sustaining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eachers must get educated before they educate, and the government and the citizens as one should form a respectful atmosphere for foreigner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항석(Choi, Hang-Seok),차미정(Cha, Mi-Jeung). (2010).초등ㆍ중등교사들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운영 방안 연구. 다문화교육, 1 (3), 133-155

MLA

최항석(Choi, Hang-Seok),차미정(Cha, Mi-Jeung). "초등ㆍ중등교사들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운영 방안 연구." 다문화교육, 1.3(2010): 133-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