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지 절단 장애인의 요인별 특성과 균형자신감과의 관계 분석
이용수 475
- 영문명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Characteristics and Balance Confidence of Lower Extremity Ampute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최봄(Choi, Bom) 김장환(Kim, Jang Hwan) 이진복(Yi, Jin Bock)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7권 제1호, 377~3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과 재활에 있어서 기존 연구가 부족한 절단장애인을 대상으로 절단장애인의 요인별 특성 및 낙상과 및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에 대한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서울 및 서울근교에 거주하는 252명의 하지 절단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절단부위 및 원인,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 보행 및 낙상관련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기존의 균형관련척도보다 적용범위가 더 넓고 기능적인 면이 포함된 균형 측정도구인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척도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절단 부위에 따른 ABC 척도 점수에서 하퇴군의 평균 점수가 대퇴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절단 원인에 따른 ABC 척도 점수에서 비혈관성군의 평균 점수가 혈관성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하퇴 절단 중에서 비혈관성 절단이 혈관성절단에 비하여 ABC 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비혈관성 절단 중에서 하퇴 절단이 대퇴 절단에 비하여 ABC 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낙상 경험 및 낙상 두려움에 따른 ABC 척도 점수에서 낙상을 경험하지 않은 군과 낙상을 두려워하지 않는 군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하지 절단장애인의 재활과정동안,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기능적 훈련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gait related factors, falling related factors, and the balance confidence of lower extremities amputee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 balance confidence.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52 lower extremities amputees who reside in Seoul and in the suburbs of Seoul by utiliz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balance confidence we used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scale.
The following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ranstibial amputee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in ABC scale score than the transfemoral amputee group, (2) The amputee group due to nonvascular causes is significantly higher in ABC scale score than the amputee group due to vascular causes, (3) The nonvascular amputee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in ABC scale score than vascular amputee group. And the transtibial amputee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in ABC scale score than the transfemoral amputee group among the nonvascular amputee group, (4) The people who have not fallen group, the people who have not fear of falling group are significantly higher in ABC scale sc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balance confidence in rehabilitation of lower extremity amputee is important. And balance training based on ABC is might be helpful for lower extremity amputee to during rehabilitation process and return to daily living.
목차
논문요약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장애학생의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수혜 실태조사
- 문헌분석을 통한 노화에 따른 음성의 특징과 삶의 질 변화
-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적장애인거주시설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딜레마 경험
- 편마비환자의 팔꿉관절 굽힘각도에 따른 지팡이 보행 시의 마비측 하지 및 비마비측 상지의 근활성도 비교
- 뇌졸중 환자의 낙상 경험에 따른 균형, 운동성, 균형자신감의 비교
- 장애영유아 부모의 양육부담과 가족적응에 관한 연구
-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지지, 여가만족 그리고 사회기술능력과의 인과관계연구
- The Basic Rights of Labor for Individuals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 대구광역시 보조기구센터의 보조공학 지원사업별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임금격차 분석
- 정신장애인의 장애등록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가족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장애인 가족의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세보조용구의 품질관리 체계 구축에 대한 연구
- 장애인활동지원제도에 관한 한ㆍ일 비교 연구
- 수화통역의 영역과 수화통역사의 역할수준에 관한 연구
- 하지 절단 장애인의 요인별 특성과 균형자신감과의 관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