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주운전자의 동의 없는 채혈의 증거법적 검토
이용수 169
- 영문명
- A Review of Unconsented Blood Sample Taking of DUI suspect in the Aspect of Rules of Evidence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 저자명
- 노수환(Roh, Soo-Hwan)
- 간행물 정보
- 『성균관법학』成均館法學 第24卷 第4號, 311~33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ompulsory taking a blood sample from an unconscious DUI suspect who caused a traffic accident is possible in the following three methods: first by an expert appointed by law enforcement agency under court’s approval, second as a necessary disposition for seizure authorized by a seizure warrant, and third as a necessary disposition for inspection authorized by an inspection warrant.
In order to determine the substantive truth it is highly necessary to quickly take a blood sample from a DUI suspect. Therefore it should be allowed to first take a blood sample and obtain a warrant afterward under Section 216 (3)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 If an unconscious DUI suspect is evacuated to a hospital, and is able to be recognized as a f1agrant offender or a quasi-flagrant offender by common sense, the ‘urgency’ requirement of Section 216 (3) should be considered as met. Moreover, if a DUI suspect is evacuated to hospital and it was not appropriate to take a blood sample from the accident scene, the emergency room can be acknowledged as the ‘scene of the offense’. The Supreme Court agrees that Section 216 (3) can be applied to allow taking of blood samples from unconscious DUI suspects in the emergency room, and this viewpoint seems reasonabl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강제채혈의 법적성질
Ⅲ. 긴급 강제채혈의 허용 여부
Ⅳ. 마치며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집절차에 위법이 있는 압수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부동산 유치권의 대항력제한에서 불법점유를 원인으로 하는 유치권 성립제한으로의 재전환
- 유럽연합의 개인정보보호 집행체계에 관한 연구
- 형법상 ‘실행의 착수’에 관한 재검토
- 제3자에 의한 채권침해의 입법화 방안
- 사내변호사의 법적 지위의 특수성
- 한국 형법의 사회상규조항의 기능과 형법학의 과제
- 저작권법상 공중송신의 유형 및 그 법적 취급에 관한 연구
- 경찰권의 민간위임 경향과 한계
- 브뤼셀 제1규정상 불법행위지관할에 있어서의 행동지와 결과발생지
- 음주운전자의 동의 없는 채혈의 증거법적 검토
- 사회변화와 헌법변화
- 신상후견 일고(一考)
- 특허성 판단 관련 사후고찰 및 역교시 사례연구
- 차기 정부 KBS거버넌스에 관한 쟁점 및 바람직한 입법방안
- 중국 인민조정합의의 효력에 관한 소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