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머니의 자녀 훈육 경험

이용수 6025

영문명
Exploration of Mother's Disciplining Experiences Based on Symbolic Interactionism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김인지(Kim, In Jee) 이숙현(Lee, Sookhyun)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4집 2호, 1~3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훈육 행위의 형성과 진행 과정에 초점을 두고, 어머니들 자신이 부여하는 의미를 통해 자녀 훈육 경험을 이해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징적 상호작 용론과 여성주의적 시각에 입각하여 어머니들의 훈육 경험을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 과정속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규정하고, 어머니들은 훈육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훈육을 통해 무엇을 느끼는가, 훈육 경험이 어머니에게 주는 영향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질문을 통해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18개월에서 취학 전 연령까지의 유아기 자녀를 둔 대졸 기혼여성 22명이었다.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현상학적 방법론에 따랐다. 연구결과 고등교육을 받은 어머니들은 아동중심적 양육관을 토대로 애정적이고 민감한 양육태도를 가져야 한다는 사회적 역할 기대를 내면화하고 있었다. 그러나 허용의 한계와 자녀의 저항, 자녀의 반복적인 기대위반, 감정조절의 어려움, 우발적인 체벌 등으로 어머니들은 이상적인 훈육을 실천하지 못해 좌절과 실망, 미안함과 후회, 죄책감 등의 부정적정서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이상과 현실의 부조화를 극복하기 위해 어머니들은 직접적, 인지적, 정서적 대처 방식을 사용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mothers enforcing discipline behaviors on their children in various circumstances from Symbolic Interactionism. Twenty-two mothers with 18-months-old to six-year-old children were interviewed in depth and the data coding process was used and several facets of ‘the data analysis spiral’ were repeated for the data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 ultimate goal of discipline was to provide the appropriate guidance to their children. They hoped their disciplinary behaviors to be permissive, consistent, and rational, by using explanations and being sympathetic role-models to their children. Secondly, a discrepancy between the idealistic interpretation of discipline and its actual practice was found. Due to children's resistance to observing the disciplinary norms, the number of permissible actions were limited. Moreover, it was reported that mothers experienced difficulty in achieving its ideal goal because of the repeated violation of their expectancies by frequently occurring sibling quarrels or children's difficult temperament. Furthermore, disciplining children often turned out to be an outlet for mothers to vent their anger and some participants inflicted corporal punishment abruptly. Thirdly, due to inconsistency between the pursuit of an ideal and actual disciplining manner, mothers often felt regretful, guilty, disappointed, and frustrated. To overcome these psycho-emotional states, they employed a variety of coping mechanisms; namely, direct coping, cognitive coping, and emotion-focused coping.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인지(Kim, In Jee),이숙현(Lee, Sookhyun). (2012).어머니의 자녀 훈육 경험. 가족과 문화, 24 (2), 1-38

MLA

김인지(Kim, In Jee),이숙현(Lee, Sookhyun). "어머니의 자녀 훈육 경험." 가족과 문화, 24.2(2012): 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