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생 종단자료를 이용한 학교 부가가치지수 산출의 적용 타당성

이용수 506

영문명
Review of Feasibility of School Value-added Using Student’s Longitudinal Data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김준엽(Jun-Yeop Kim) 신진아(Jin-Ah Shin) 김경희(Kyung-Hee Kim)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5권 제2호, 213~23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향상도 공시를 위한 학교 향상도 지표 개발을 위해 부가가치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의 맥락에서 타당한 변수들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9년 고등학교 1학년과 2010년 고등학교 2학년의 평가결과를 연계하여 학생 종단자료를 구축하였고, 맥락 부가가치 모형을 중심으로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변수를 모형에 투입하였다. 연구결과, 부가가치 분석 모형 중 동일한 학생의 사전 성취도는 학생의 현재 성취도를 예측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변수였다. 또한 연도간 평가 결과의 비선형적 연관성을 반영하기 위한 사전 성취도 이차항의 투입과 학교의 평균적 성취도를 모형에 포함하는 것은 타당한 학교 부가가치를 산출하기 위해 필요하지만, 학교별 성취수준의 표준편차와 학교의 기초수급대상자 비율을 부가가치 모형에 포함하는 것은 현 시점에서 적절하지 않음을 제언하였다. 또한 소규모 학교의 문제를 포함하여 향후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the feasibility of contextual value-added model (CVA) as a tool to develop school progress index for public announcement of 2011 NAEA results. For this, student’s longitudinal data was established by linking evaluation results of high school first graders in 2009 with their 2010 results. Among the input variables of CVA model, variables that can be used in NAEA were put on the model. According to study results, student’s prior achievement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for predicting the student’s current achievement. Also, quadratic term and schoollevel average of 2009 results turns out to be adequate predictor of 2010 results. These two terms properly reflect non-linear prior-post achievement relationship and school level contextual effect, respectively. However, including school-specific standard deviation of 2009 achievement level and percentage of school’s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in value-added model seems to be inadequate under Korean context. Finally, problems associated with estimating value-added measures for small sized school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chool-specific estimation reliability and overall st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맥락 부가가치 모형(CVA)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준엽(Jun-Yeop Kim),신진아(Jin-Ah Shin),김경희(Kyung-Hee Kim). (2012).학생 종단자료를 이용한 학교 부가가치지수 산출의 적용 타당성. 교육평가연구, 25 (2), 213-239

MLA

김준엽(Jun-Yeop Kim),신진아(Jin-Ah Shin),김경희(Kyung-Hee Kim). "학생 종단자료를 이용한 학교 부가가치지수 산출의 적용 타당성." 교육평가연구, 25.2(2012): 213-2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