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高句麗 長壽王代의 對宋外交와 그 意義
이용수 442
- 영문명
- 高句麗 長壽王代的 對宋外交和意義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저자명
- 李成制
- 간행물 정보
- 『백산학보』第67號, 293~335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高句麗의 對宋外交추진과 그에 따른 대북위 전략을 검토하였다. 北燕과 그 일대의 東夷제세력을 장악하려던 북위의 전략은 고구려의 군사적 개입으로 좌절되었다. 또한 고구려는 和龍城에 진출하여 북연의 지배층을 영입함으로써 북위의 북연 정복을 불완전하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북연지역통치에도 불안감을 주었다. 이에 북위는 고구려를 적대국가로 간주하였고, 우선 북연지역을 안정시킨 후 東方政策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려 하였다. 북위가 북연지역과 정복민을 유화적인 통치방식으로 다루고, 和龍鎭을 두고 要人을 파견하였던 것은 이러한 사정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에 대해 고구려가 강국이라고는 하지만, 그것이 북위에 비해선 열세였음에 틀림없다. 그리고 이것은 고구려의 북위에 대한 强穩兩策이 가지는 효과를 제한하였다.
長壽王26年(438) 宋이 北燕王馮弘을 영입하려 시도하자, 고구려는 대북위 관계에서 송의 존재를 내세울 수 있었다. 송의 전략은 북위의 동방에 새로운 전선을 만들어 북위의 군사적 역량을 분산시키려는 데 있었다. 대송외교를 전개함으로써, 장수왕은 고구려가 북위와 송의 대결관계에서 양측 모두에게 전략적으로 중요한 상대라는 점을 새롭게 인식시킬 수 있었다. 또한 장수왕은 대북위 관계를 단절하고 대송외교를 추진함으로써 북위와 反北魏戰線의 대결관계에서 고구려의 전략적 가치를 한껏 끌어올릴 수 있었다. 물론 고구려의 전략은 북위와 송으로부터 쉽사리 인정받을 수는 없었다. 그러나 풍홍사건의 수습과정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고구려는 송에게 사태의 잘못을 인정하도록 강요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고구려는 고구려의 전략적 중요성을 새로운 견제력으로 확보하여, 북위로 하여금 고구려의 서방을 목표로 한 군사행동을 자제하도록 만들 수 있었다. 나아가 고구려는 송과의 관계를 우호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었음은 물론이고, 동아시아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이 빠져나오지 못했던 宋ㆍ柔然과 북위의 대결에 휘말리지 않을 수 있었다. 이러한 고구려의 전략은 대립관계에 있던 북위를 상대로 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각별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我檢討了高句麗的對宋外交推進和對北魏戰略。由于高句麗的軍事介入挫折了想掌握北燕和其一帶東夷諸勢力的北魏的戰略。還有高句麗在和龍城進軍后, 以吸收北燕的統治階級,不僅讓北魏的北燕征服造成不完全,而且造成不安在北燕地區統治。因此北魏把高句麗當做敵對國,首先安定北燕地區后,想積極推進東方政策。北魏把北燕地區和征服民馴以宥和的統治方式,設置和龍鎭, 還有派遣要人等這些一系列政策也證明着。高句麗雖然强國,還是劣勢比北魏。這是限定高句麗的對北魏的强穩兩策效果。
長壽王26年宋朝試圖招收北燕王馮弘后,高句麗在對北魏關系不可以提出宋朝的存在。宋朝的戰略是在北魏的東方建設新戰線后讓分散北魏的軍事力量。以展開對宋外交,長壽王使北魏和宋朝雙方能認識高句麗是戰略上的重要對象還有長壽王斷絶對北魏關系后,以推進對宋外交能盡力提高高句麗的戰略价値在北魏和反北魏戰線的較量關系。當然高句麗的戰略不可以容易認爲給北魏和宋朝。可是我們能認出在馮弘事件的收拾過程,高句麗能逼迫宋朝承認他們的錯誤。而且高句麗切實保障高句麗的戰略重要性以新的牽制力,使北魏克制對高句麗西方的軍事行動。高句麗進一步友好帶動跟宋朝的關系,還有防止卷入大部分的東亞國家擺脫不了的宋ㆍ柔然和北魏的較量關系。這樣高句麗考慮到的對立關系中的北魏的戰略有特別的意義。
목차
Ⅰ. 머리말
Ⅱ. 長壽王의 北燕王 馮弘 제거와 對宋外交
Ⅲ. 北魏의 和龍 鎭守와 東方政策
Ⅳ. 長壽王代 對宋外交 中心의 西方政策 추진과 그 意義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鮮”의 高麗와 “小山”의 馴鹿 연구
- 고려 태조대의 대외정책
- 高句麗ㆍ渤海史의 연구방법론
-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과 한국의 대응전략
- 將軍塚 被葬者에 대하여
- 高句麗 長壽王代의 對宋外交와 그 意義
- 高句麗와 新羅 기와 比較 硏究
- 발해 문화의 고려 전승
- 高句麗佛像이 日本佛像에 미친 영향
- 東アジア都城制における高句麗長安城
- 〈후발해국〉의 존재여부에 대하여
- 中國의 ‘東北工程’의 虛實
- 중국학계가 보는 한반도 남북학계의 고구려연구(1)
- 일본 고대 문헌에 나타난 고구려상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분주 재론
- 中華天下秩序中의 高句麗
- 북한이 본 고구려사
- 中國의 渤海史 硏究
- 高句麗 壁畵墳과 新羅 榮州地域 壁畵墳 比較 考察
- 유적을 통해 본 발해건축의 독자성 연구
- 한국 사료에 나타난 고구려사 인식
- 渤海文化の二重的特徴
- 최근몇년래 조선사학계의 발해사관변화와 문제점
- 夫餘城郭의 特徵과 關防體系 硏究
- 『日本の古代文獻に表れた高句麗像』
- 高句麗史에서의 國原城
- 高句麗 國內城의 試掘調査
- 高句麗 太王陵의 主人公
- 東아시아 都城制에서 高句麗 長安城
- 고구려와 흉노의 친연성에 관한 연구
- 디지털복원에 의한 國內城과 廣開土太王陵의 再現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