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全文 『白花道場發願文略解』와 체원의 관음신앙

이용수 408

영문명
The full text of Baekhwadoryangbalwonmun-ryakhae and Chewon's Avalokitesvara belief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정병삼(Jung, Byung Sam)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佛敎硏究 第34輯, 83~11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白花道場發願文略解』는 고려 후기에 體元이 신라 의상이 지은 것으로 전승되던 『白花道場發願文』을 해석한 책이다. 그동안 20장 분량의 『백화도량발원문약해』는 2장이 결실되어 내용이 알려지지 않았는데, 최근에 그 내용이 수록된 판본이 발견되어 全文이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의상의 『백화도량발원문』 전문과 체원의 『백화도량발원문약해』 전문의 내용을 확인 검토하였다. 全文을 살펴본 『백화도량발원문』 은 일반적인 고난 구제가 아니라 관음을 지성으로 따르며 백화도량 정토에 왕생하기를 기원하는 발원문이었다. 체원은 『백화도량발원문약해』를 의상과 법장 등 화엄 초기 조사들의 전적을 주로 인용하여 풀이하였다. 경전은 80화엄을 주 대본으로 하고 논소는 징관의 『華嚴經疏』를 많이 인용하여 해석하였다. 이는 白花道場의 어의적 해석을 위해 그 대본을 인용했기 때문이었다. 발원문의 圓通三昧나 大圓鏡智관음의 大慈悲등과 관련하여 『능엄경』을 전거로 해석하였다. 또 관음과 발원제자가 결국 평등한 체성으로 귀착된다는 것은 『일승법계도』 등 신라 화엄 전적을 중점 인용하여 설명하고 전체적으로는 법장의 저술을 가장 많이 인용하였다. 이러한 체원의 해석 경향은 발원문 구절을 충실히 따르면서 그에 적합한 전거를 찾기 위해 여러 가지 경전과 논소를 인용한 데 따른 것이었다. 체원이 화엄의 구도적 실천신앙을 표방하면서도 백화도량에 왕생하고자 발원문을 해석하여 널리 알리고자 한 것은 고려 후기에 보편적이던 정토왕생의 희구에 대한 화엄적 대안이었다. 체원은 의상과 의상계 화엄을 계승하여 『백화도량발원문』 의 관음신앙을 해석함으로써 고려 후기 화엄교단의 사상적 전통을 명확히 하고 화엄교단의 관음신앙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Baekhwadoryangbalwonmun, which is presumed to Euisang, shows that he prayed for Avalokitesvara. The letter intends to not deriving fears but want to rebirth in Potalaka Land, the Pure Land of Avalokitesvara. Baekhwa doryangbalwonmun-ryakhae is the interpretation of Baekhwa doryangbalwonmun. Chewon interpreted this book with quoting the works of Euisang and Fazang, the Silla and Tang founders of Hwaom Buddhism. He cited 3 versions of Avatamsaka sutra, 80 volumes, 40 volumes and 60 volumes, and quoted Huayanjingshu of Chengguan most frequently. He presented Shoulengyanjing to explain the meaning of wontongsammae, daewongyeongji and the great mercy. All these quotations were based on his effort to try to explain the Avalokitesvara belief. On the other hand he quoted the Silla Hwaeom works like I lseungbeopgyedo to explain Avalokitesvara and prayer concluded equal nature. Like this, Chewon tried to explain the Baekhwadoryangbalwonmunr's phrase accurately through presenting various suitable works. Chewon explained the Avalokitesvara belief of Baekhwadoryangbalwonmun in the tradition of the belief of Hwaeom school which was continued since Silla. Thus he tried to determine the tradition of thought of Hwaeom school in late Goryeo, and establish the Avalokitesvara belief which leads to Potalaka Land.

목차

Ⅰ. 머리말
Ⅱ. 全文 『白花道場發願文略解』의 내용
Ⅲ. 『白花道場發願文略解』의 관음신앙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병삼(Jung, Byung Sam). (2011).全文 『白花道場發願文略解』와 체원의 관음신앙. 불교연구, 34 , 83-116

MLA

정병삼(Jung, Byung Sam). "全文 『白花道場發願文略解』와 체원의 관음신앙." 불교연구, 34.(2011): 83-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