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지공급자 관점의 보금자리주택 입지선정 요인 중요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4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the Primary Factors Selecting Location for NEW PLUS Hous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Land Supplier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안계훈 정문오 김광호 이상엽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42輯, 314~327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Minister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MLTM) presented the NEW PLUS Housing scheme for low-income families to solve unstable housing and for civilians who did not own house to stimulate their house ownership. This study is conducted to look into the importance by factor in selecting the location about release from the greenbelt for the housing project and the site designation, and further more to verify the need and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ing site designation standar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tion by applying selection cases of existing model districts. (2) RESEARCH METHOD It examined the NEW PLUS Housing policy, and carried out a survey of experts in charge of the NEW PLUS Housing on the importance of site designation factors. This study analyzed what items are important in designating the NEW PLUS Housing site through AHP method, and additionally looked into the difference by analyzing the importance of respective site designation of the firstly sold four model districts(Gangnam Segok, Secho Woomyun, Goyang, Wonheung, Hanam Misa). (3) RESEARCH FINDING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importance in designating the NEW PLUS Housing site has shown that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conflicts with environmental groups and the recovered area of the destructed green belt are most important, a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item orders of the comprehensive importance of site designation and each model district’s due to its regional characteristics. 2. RESULTS For designating the NEW PLUS Housing site, the standards for site designation should be prepared considering the specialty ‘supplying’ through the release from the green belt. Moreover, they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uniqu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district.
목차
Ⅰ. 서 론
Ⅱ. 보금자리주택의 정책과 현황
Ⅲ. 선행연구 및 AHP이론적 고찰
Ⅳ. 보금자리주택 입지선정요인 중요도 산출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부동산 투자와의 상관관계
- 토지공급자 관점의 보금자리주택 입지선정 요인 중요도에 관한 연구
- 글로벌화에 따른 재류외국인의 주거환경 지원에 관한 연구
- 도시재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관한 소고
- 未拂 河川敷地 補償制度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 아파트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부동산투자를 위한 자금조달방법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외국의 부동산세제에 관한 소고
- 아파트의 외관디자인에 대한 특성 평가 및 다차원 분석
- 不動産行爲의 分類 試論
- A Study of Land Expropriation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
- 택지개발지구 내 상업용지 토지이용계획 수립방안
- 도시형 생활주택 경제성효과에 따른 문제점 분석
- 부동산업 전문직 종사자의 직업윤리에 관한 연구
- 대학법인 수익용 부동산의 운영성과 영향요인 분석
- DEA 분석기법을 활용한 건설기업의 경영효율성 분석
- 여수세계박람회가 지역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 부동산경매제도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합리적 대토보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부동산 개발사업에서의 공동빌딩방식의 이론적 접근
- Implementation of Total Project Management System(TPMS) in Residential Complex Construction Development Project
- 양기풍수이론의 도시입지론적 해석
- 분양 및 임대 아파트컨셉을 기반으로 한 경제적 타당성 분석 연구
- 뉴타운사업 추진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주택건설(객체보조)에 대한 정책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